글을 이따위로 쓴 놈이 멍청한 거다!: 김영건 선생님의 교훈에 대한 단상

서강대 철학과에서 공부할 당시에 김영건 선생님께 배웠던 여러 가지 중요한 교훈들이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이런 거였어요.

"텍스트가 어렵게 쓰여 있으면, 이걸 이해 못하는 우리가 아니라, 애초에 글을 이따위로 쓴 놈이 멍청한 거지!"

복잡하고 난해한 글들이 수업에서 등장할 때마다, 김영건 선생님이 종종 이런 이야기를 해주시면 참 속이 시원했습니다. 고전적인 철학자들이 쓴 고전적인 논문에 대해, "글이 개판이라 괜히 내용이 어렵게 느껴지는 거다."라고 이렇게 직설적으로 말해주시는 분은 정말 보기 드물었으니까요.

특별히, 저 같은 대학원생들은 항상 배우고 평가 받는 위치에 놓여 있다 보니, 고전적인 텍스트를 읽을 때면

'내가 빡대가리(?)여서 이 위대한 글을 이해 못하는구나!'

하고 무조건 숙이는 자세로 들어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러다가 김영건 선생님을 통해 애초에 텍스트 자체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니, 그 이후로는 철학 텍스트를 훨씬 더 가벼운 마음으로 읽을 수 있게 되더라고요.

그렇다고 김영건 교수님이 난해한 내용에 대해 무조건 텍스트 탓만 하시는 분은 결코 아니었죠. 아무리 어려운 내용이라도, 제대로 이해한 사람은 그 내용을 한두 문장으로 간략히 설명할 수 있다는 게 김영건 선생님이 항상 강조하셨던 점이었습니다. 그래서 종종 이렇게 말씀하셨죠.

"뭐든지 자신이 읽은 걸 한 문장으로 요약할 수 있어야지! 좀 더 나가면, 전제와 결론 두 문장으로! 틀리면 뭐 어때? 잘못 이해한 내용은 나중에 고치면 되는 거야."

공부를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읽은 내용을 대담하게 자신의 말로 요약할 수 있어야 하고, 또 그렇게 요약한 내용이 정말 옳은지를 사람들 앞에서 검토해야 한다는 거였죠. 그래서 김영건 교수님의 수업에서는, 어떤 복잡하고 난해한 텍스트에 대해서라도, 한두 문장으로 요약하여 토론하는 일들이 활발하게 일어났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종종 생각하는 것이지만, 김영건 교수님처럼 텍스트를 대하는 태도는 철학 공부에서 정말 중요한 것 같습니다. 철학자들의 글이라는 게, 언제나 깔끔하고 완벽하게 쓰여 있지만은 않으니까요. 사실, '개판'인 경우가 훨씬 많죠. 고전적인 논문들조차도 종종 특정 부분에서는, 글을 쓰는 사람 본인의 머릿속에 내용이 충분히 정리되지 않아서, 문장과 문장 사이나 문단과 문단 사이를 굉장히 엉성하게 맞춰놓기도 하고요. (러셀의 "On Denoting"에서 '그레이(Gray) 연가 논증'이 그 대표적인 예죠.) 이런 경우에는 표현이나 구절 하나하나에 대단한 의미를 두면서 텍스트를 심각하게 해석하려는 게 애초에 그다지 생산성이 없는 일일 거예요. 오히려 그 부분에서 텍스트가 말하려는 요지를 대강 한두 줄로 정리해 보고, 이후에 잘못 해석한 게 있다는 사실이 발견되면 그때 가서 수정하는 게 훨씬 낫죠.

그래서 저는 철학 텍스트를 읽다가 난해한 부분에 부딪히게 될 때 항상 이렇게 질문합니다. (a) 이 부분이 정말 내가 그동안 생각해보지 못한 새로운 통찰을 담고 있어서 어려운 것인가, 아니면 (b) 단지 글이 제대로 정리되지 않아서 어렵다고 느껴지는 것인가? 물론, 이런 질문을 던지는 것만으로는 둘 중 어느 쪽이 옳은지가 곧바로 드러나지는 않지만, 적어도 (b)라는 가능성이 열려 있다는 사실을 자각하게 된 것만으로도 공부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텍스트를 읽으면서 불필요한 시간 낭비를 하지 않게 되었거든요. 텍스트에 있는 모든 난해한 내용 하나하나에 반드시 대단한 의미를 부여할 필요가 없다는 걸 알게 되면서, 난해한 내용을 과감하게 요약하고 그 다음 내용으로 넘어갈 수 있게 되었으니까요. 적어도 저는, 학생들에게 텍스트를 '가볍게' 대할 수 있는 용기를 길러주셨다는 점에서, 김영건 선생님께 항상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27개의 좋아요

이미지

멍청한 철학자들을 혼내고 계신 김영건 선생님

10개의 좋아요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제가 많은것을 알지는 못하지만 진짜 이게 텍스트인지 ... 문장구조를 뜯어 고쳐주고싶은 글도 있습니다. 그런데 사진속 저분이 김영건 교수신가요? 실제로 뵌적이 없어서요

2개의 좋아요

김영건 교수님 맞습니다! 서강대학교 철학개론 공개 강의에서 가져온 화면입니다.

4개의 좋아요

예전에 닉 스탱 교수와 독일철학을 공부한다는 것이 뭔지에 대해 얘기를 나눈 적이 있습니다. 이 사람들이 자신의 철학을 잘 못 써낸 것은 당연한 일이고, 심지어 논리의 구멍도 많죠. 즉, 철학사를 공부한다는 것은 이 사람들이 자신의 철학을 설명한 것보다 잘 설명하고, 그 사람들이 이해한 것보다 더 잘 이해하는 것이 목표라는 것이죠. 헤겔을 공부한다면 헤겔을 더 이해하기 쉽고 논리가 맞게 정리하는 것, 혹은 그것이 불가능하다고 보이는 것이 철학사를 공부한다는 것 아닐까요.

꼭 같은 이야기는 아니지만, 어느 정도 내용이 겹치는 것 같아서 공유해봤습니다.

5개의 좋아요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이미지

9개의 좋아요

전에 순수이성비판을 읽을 때 단어 하나하나에 집착하는 바람에 결국 포기해버렸던 적이 있었는데, 무조건 다 뜯어내겠다는 태도가 그렇게 좋은 건 아니었군요.

5개의 좋아요

위에 있는 철학개론 공개강의 1강에서 김영건 선생님이 칸트의 글쓰기가 개판이라고 하시는 부분이 있습니다ㅋㅋㅋㅋㅋ 13:25 부분이네요.

(학생에게) 그 사람, 칸트가 글을 잘 쓴 것 같아요? 왜 이따위로 썼을까요, 글을? 요새 신문에서 『순수이성비판』이 가독성이 없다는 비판이 있는데, 이건 번역 문제일 수도 있지만, 칸트 이놈이 이따위로 써 놓았단 말이에요. 어떻게 써야 명료하게 쓸 수 있을 것 같아요? 문장이 너무 길잖아요. 짧게짧게 쓰면 될 걸!

11개의 좋아요

심지어 순수이성비판에서 마치 단어를 정의하는 것 마냥, 엄밀한 정의를 내리는 것 마냥 엄근진하게 말해놓고 좀만 지나면 다른 뜻으로 그 단어 쓰기도 하죠. 진짜 개킹받는 칸트...

1개의 좋아요

블로그만 하시는 줄 알았는데 여기서 연재도 하시더라구요. 모두 구독하세요!

3개의 좋아요

수학자나 과학자를 전혀 이해할 수 없다고 해서 화를 내는 사람은 없다. 철학자들에게는 쉽게 이해 할 수 있게 해달라고 요구하면서 , 왜 전혀 다른 학문의 학자들에게는 그러지 않는가? ㅡ 자크 데리다

3개의 좋아요

전문적이기 때문에 어려운 글과 난삽하기 때문에 어려운 글이 서로 다르다고 생각해요. 문제는 철학자들이 '난삽하기 때문에 어려운 글'을 쓴다는 점이죠. 대륙철학자들뿐만 아니라 분석철학자들조차도요. (한스요한 글록이 쓴 『분석철학이란 무엇인가?』라는 책에는 분석철학자들이 종종 기호를 쓸데없이 사용해서 글을 난삽하게 만든다는 점이 잘 지적되어 있죠.) 저 말을 한 데리다조차도 초기의 『목소리와 현상』이나 『그라마톨로지』 같은 저작들은 상당히 깔끔하게 잘 썼다고 저는 평가해요. 다만, 『철학의 여백』이나 『우편엽서』 등에서 나타나는 기괴한 글쓰기에 대해서 많은 사람들이 의문을 품는 거죠. '굳이 글을 이렇게 쓸 필요가 있을까?'하고요.

5개의 좋아요

들어보니 확실히 맞는 말씀 같네요 종종 단순히 철학이 사용하는 용어가 낯설고 어렵기떄문에 무작정 철학은 사기라고 깎아내리는 사람들을 많이봐서 제가 많이 예민하게 반응한 거 같습니다. 답글 감사합니다.

4개의 좋아요

아 이 분이 풍경님이셨군요!!! 어서 봐야겠어요 ㅋㅋㅋ

2개의 좋아요

철학을 공부하면 공부할수록 교수님이 항상 말씀하시던 "논증으로 구성하고, 평가하라"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철학의 전부라는 생각이 듭니다 오랜만에 교수님 추억할 수 있는 좋은 글 감사합니다.

2개의 좋아요

오늘 새벽 별세하셨습니다..

1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