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시대의 헤겔: 『정신현상학』과 『논리의 학』(3)

2022년 1월 20일, 서강올빼미
우리 시대의 헤겔: 『정신현상학』과 『논리의 학』(3)

논문

Terry Pinkard, “Hegel’s Phenomenology and Logic: An Overview”, The Cambridge Companion to German Idealism, Karl Ameriks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161-79.

발제

  1. 들어가기(00:00-03:46)
  2. 우리 세미나의 맥락(03:47-04:19)
  3. 테리 핀카드는 누구인가?(04:20-06:54)

『정신현상학』

  1. 『정신현상학』의 구조(06:55-11:36)
  2. 『정신현상학』의 구조에 대한 의문(11:37-20:49)
  3. 횔덜린의 영향(20:50-23:29)
  4. 사유와 존재의 근원적 동일성(23:30-24:15)
  5. 헤겔의 일반적 요점(24:16-24:56)
  6. 「의식」 장에서 「자기의식」 장으로(24:57-26:01)
  7. 칸트 vs. 헤겔(26:02-26:39)
  8. 생명이 보편적 자기의식의 규칙을 규정한다?(26:40-28:21)
  9. 개별적 행위자의 목적이 자기의식의 규칙을 규정한다?(28:22-30:21)
  10. 주인과 노예의 변증법(30:22-32:27)
  11. 유럽 인문성의 역사(32:28-34:15)
  12. 「자기의식」 장에서 「이성」 장으로(34:16-35:48)
  13. 근대 유럽인의 조건: 사회적 실천 속에서 구성되는 이성(35:49-37:54)
  14. 「이성」 장에서 「정신」 장으로(37:55-38:52)
  15. 정신의 역사(38:53-41:33)
  16. 「정신」 장에서 「종교」 장으로(41:34-42:04)
  17. 그리스도교적 화해란 무엇인가?(42:05-42:41)
  18. 「종교」 장에서 「절대지」 장으로(42:42-43:27)
  19. 절대지(43:28-44:11)

『논리의 학』

  1. 『논리의 학』의 구조(44:12-47:42)
  2. 횔덜린의 통찰(47:43-48:01)
  3. 상호주관적 통일성의 규범적 구조(48:02-48:31)
  4. 근원적 통일성 속의 역설(48:32-48:54)
  5. 절대이념 = 이유의 공간(48:55-50:17)
  6. ‘지양’이란 무엇인가?(50:18-52:26)
  7. 존재론, 본질론, 개념론(52:27-53:08)
  8. 존재론(53:09-53:53)
  9. 본질론(53:54-54:41)
  10. 개념론: 규범적 구조(54:42-55:35)
  11. 개념론: 경험의 분절화(55:36-56:26)
  12. 개념론: 용어, 판단, 추론에 대한 우리의 이해(56:27-57:46)
  13. 개념론: 실질적 추론의 우선성(57:47-59:56)
  14. 개념론: 객관성(59:57-1:01:30)
  15. 개념론: 진리와 선(1:01:31-1:02:13)
  16. 개념론: 절대적 이념(1:02:14-1:04:32)

질의응답 및 토론

  1. 『정신현상학』: 정신의 여정(1:04:33-1:05:44)
  2. 핀카드와 브랜덤(1:05:45-1:06:33)
  3. 지평으로서의 정신(1:06:34-1:11:00)
  4. 반표상주의와 표현주의(1:11:01-1:14:27)
  5. 규범에 대한 자연주의적 설명(1:14:28-1:21:53)
3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