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junctive Mood

처음으로 질문을 남겨보네요. 가정법 문장의 의미를 정확하게 캐치하지 못하겠어서 제가 어딘가 잘못 이해하고 있나 하는 생각으로 여러분들의 의견을 묻습니다!

Kai Wehmeier라는 논리학자이자 철학자가 크립키의 양상 논증을 비판한 부분을 보고 있는데요, 논증은 아주 깔끔합니다.
우선 크립키의 양상논증은 다음과 같이 재기술 됩니다.

  1. 'Aristotle would not have taught Alexander' is true.
  2. 'The teacher of Alexander would not have taught Alexander' is false.
  3. Two linguistic expressions are subsitutable salva veritate iff two linguistic expressions are synoymous.
    Therefore, 'Aristotle' and 'the teacher of Alexander' is not synonymous.

베마이어의 비판은 'the teacher of Alexander'가 애매하게 쓰였다는 것입니다.
만일 'the teacher of Alexander'가 'the person who taught Alexander'라면 전제 2가 거짓이 되기 때문에 이 논증은 건전하지 않습니다.
만일 논증이 건전하게 되기 위해서는 'the teacher of Alexander'가 'the person who would have taught Alexander'와 같은 의미여야 하는데, 기술주의자들조차도 이를 'Aristotle'의 동의어로 생각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런 고로, 크립키의 양상논증은 실패한다는 것이 베마이어의 주장입니다.

제가 의문이 드는 건, 다음 문장을 한국어로 번역했을 때 약간 이상하게 보인다는 점입니다.

The person who would have taught Alexander would not have taught Alexander.
알렉산더를 가르칠 수 있었던 사람은 알렉산더를 가르치지 않았을 수도 있었다.

분명 영어 문장은 자기모순 명제인 것 같은데 한국어 문장은 그렇지 않아 보인다는 점이죠. 오히려

알렉산더를 가르칠 수 있었던 사람은 알렉산더를 가르칠 수 없었을 수도 있었다.

이렇게 번역이 되어야 그럴듯해 보이는데 이건 또 제대로 된 번역이 아닌 것 같고..

깔끔하게 번역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게 가정법 문맥을 제대로 이해 못해서인지, 아니면 두 자연언어 사이에 분명한 차이가 있는 건지 감이 안오네요ㅋㅋ

3개의 좋아요

(1) 기본적으로 두 자연언어가 표현하는 정보값이 차이가 있어서 그런듯합니다.

(2) would have pp는 단순히 가정된 시간축에 "가르칠 수 있는 가능성"이 아니라, 가정된 시간축에 특별한 일이 없는 이상 확정적으로 "가르칠 것"이라는 "확신"을 함축합니다. (언어에서 이러한 확신을 표명하는 정보값을 통상 'mood'라고 말합니다.)

이러한 mood에 해당하는 정보값이 한국어 번역에서는 누락되어서 번역이 살짝 달라보이는듯합니다.

(3) 이렇게 써놓았지만, 찜찜해서 검색하니 would have의 용법이 다의적이라서 제 설명이 정확한지 확신이 잘 안드네요.

2개의 좋아요

정말 사소할 수도 있는 질문인데,

이 부분은 잘못 쓰신 게 맞나요? 'the teacher of Alexander'가 'the person who taught Alexander'라면, 전제 2가 아니라 전제 2의 인용구가 참이되어야 할 것 같아서요.

1개의 좋아요

@Mandala 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would have pp' 구문은 모종의 확신을 담았다는 느낌(?)이 드네요 ... (cf. might have pp)

그래서 주신 영어 문장을 그냥 별 생각없이 한국어 문장으로 번역해보자면 저라면

The person who would have taught Alexander would not have taught Alexander.
알렉산더를 (기꺼이) 가르쳤을 사람은 알렉산더를 (기꺼이) 가르치지 않았을 것이다.

같은 식으로 번역할 것 같습니다 ... 자기모순적인가요 ...?

뭔가 쓰다보니 영어는 물론이거니와 제 한국어 직관마저 흔들리는 것 같다는 염려가 듭니다 :tired_face:

1개의 좋아요

(1) 저도 번역해보니, 와일드버니님처럼 이게 확신의 정도라고 번역해도 자기모순적인지 모르겠더라고요. 하하하.

그래서 사실 자고 일어나서 내린 결론은 would have를 부정하는 not의 번역을 살짝 바꾸는 것입니다.

would have가 (가정된 상황에서) 어떤 것을 할 것이라는 확신이라면, would not have는 어떤 것을 하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의지의 표현이니 이렇게 번역하는게 가장 낫지 않나 합니다.

1개의 좋아요

답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YOUN 넵 실수가 맞습니다 ㅋㅋㅋ 수정했습니다!

@Mandala 님과 @wildbunny 님의 답변에서 새로운 정보를 얻어가네요 ㅎㅎ
그런데 한 가지 짚고 넘어가고 싶은건, 'would have', 'could have', 'might have' 각각이 갖고 있는 차이가 의미론적 차이인지 화용론적 차이인지 하는 점입니다. 분명 두 분 말씀을 듣고 보면 'would have'는 다른 두 표현보다 확신을 갖고 하는 말임은 분명합니다. 그런데 그 확신이 담긴 부분이 의미론적 차이인지 아니면 단지 화자의 태도를 반영하는 화용론적 차이인지 하는 것은 여전히 설명이 좀 필요해 보입니다.
여기서 자세히 설명하긴 내용이 좀 길어지는 것 같은데, 기본적인 아이디어만 써보자면 Wehmeier는 바로 저 'would have'처럼 접속법으로 쓰인 문장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기존 양상논리학에 접속법으로 쓰인 명제를 표현하는 F^S 이런 식의 표현을 도입하고자 합니다. 말하자면,
'P'가 'Aristotle taught Alexander'라면
'P^s'는 'Aristotle would have taught Alexander'를 의미하는 식이죠.
제가 아직 논문을 다 이해한 건 아니지만, 베마이어가 주장하는 Subjunctive Modal Logic의 기초적인 의미론을 보면 'P^s'가 참이 되는 조건은 그냥 어떤 가능세계에서 P가 참이라는 것과 같거든요.
(물론 그럼 왜 굳이 이런짓을 하느냐? 에 대해선 나름의 답이 있는 것 같습니다. 표준적인 견해에서 'actually'를 표현하는 연산자에 문제가 있다는 점이 하나의 이유인 것 같습니다)

요컨대 'would have'가 의미론적으로는 그냥 '~일 수 있다'이고 단지 화용론적인 차이가 있다면 번역의 문제는 여전히 남는 것 같습니다. 만일 그게 아니라 'would have'에 의미론적인 차이가 정말로 있다면 Wehmeier가 접속법의 의미를 다루는 방식에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 어떤 쪽이 더 그럴듯할까요?

사족> 크립키 세미나 하시던 교수님이 베마이어랑 같이 작업도 했었고 해서 잘 안 알려져있지만 자기는 맞는 얘기라고 생각한다고 이 논문을 소개해주셨습니다. 묘하게 뭔가 마음에 안 들었던 저는 "한국어에는 접속법이 없는데 그럼 이 의미론은 확연한 한계가 있는 것 아니냐"라고 질문을 했던 것 같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굳이 의미론이라는 게 언어보편적인 체계일 필요가 있을까 싶기도 하고 그렇군요!
추가적인 예시나 이런 게 필요하시다면 열심히 읽어보고 핵심만 뽑아서 말씀드려보겠습니다!

참고 논문 : Kai Wehmeier의 "Modality, Mood, and Description"

1개의 좋아요

(1) 사전에 검색해보면, would have에는 두 가지 용법이 다 있습니다. 저나 와일드버니님이 말한, '확신'의 용법도 있고, 아니면 라쿤님이 말하듯 그저 (이미 벌어진 일에 대해서) '~했었을 수도 있다.'라는 용법도 가능하죠. (그렇다면 [제가 아는 바에 따르면] 두 해석은 의미론적 차이가 있고, 다만 어떤 해석이 옳을지는 맥락에 따라서 다르니 화용론적으로 봐야 하는 것 아닌가....생각합니다. 다의적인 것이니깐요.)

1개의 좋아요

(0) 여러 가지를 고민했는데, 우선 베마이어의 이론적 견해를 따르면 "어떤 의지의 표현"으로 보는건 너무 자비의 원칙에서 어긋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아마 시제와 상 사이의 문제가 아닌가, 라는 새로운 해석을 생각해보았습니다.

기본적으로 이 영어 문장의 뜻은, 이미 "과거 시점에서 완료된 사건"을 다르게 "가정하는 것"입니다. 이를 고려하면
(실제로 알렉산더를 가르치진 않았지만) 알렉산더를 가르칠 수 있었던 사람은, (실제로 알렉산더를 가르쳤지만) 알렉산더를 가르치지 않았을 수도 있었다.

가 엄밀한 번역이 됩니다. 이 괄호 안의 정보를 고려하면, 저 문장은 명백히 모순적입니다.

아마 한국어 번역에서 이 내용이 사라진건, 한국어가 가정법/시제와 상 표현에서 영어와 많이 다르기 때문일겁니다.

1개의 좋아요

선생님 덕에 상당한 진전이 있는 것 같습니다! 추가로 좀 더 얘길 해보고 싶은데 일단 해결책 박고 질문을 드려보겠습니다.

선생님 답변은 'the person who would have taught Alexander'와 'the person who taught Alexander' 사이에는 의미론적 차이가 있고, 그 의미 차이는 전자가 '~Tx & ◇Tx'인 반면 후자는 'Tx'로 올바르게 번역된다는 것으로 잘 드러난다는 정도로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처음 볼 땐 드디어 문제가 해결 되나 싶었는데, 만일 위에서 제가 이해한 바가 맞다면 이 해석에는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다음 문장이 괴상한 귀결을 낳는다는 것입니다.

The person who taught Alexander would not have taught Alexander.

위 해석에 따라 이 문장의 의미를 살펴보면

(x)(Tx→(~Tx & ◇Tx)) (Tx : x가 알렉산더를 가르침)

로 표현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만일 이게 맞다면 이로부터 ~Tx가 따라 나온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Tk를 가정해보면, 전건긍정식에 의해 (~Tk & ◇Tk)가 따라 나오고, 그로부터 ~TK가 따라 나옵니다. 그럼 Tk & ~Tk에 의해 귀류법으로 위 문장이 거짓이라는 결론이 나옵니다.

그런데 분명히 위 문장은 참인 것 같단 말이죠..

더군다나 문제가 됐던 문장의 경우도

The person who would have taught Alexander would not have taught Alexander.
(x)[(~Tx & ◇Tx) → (Tx & ◇~Tx)]

라고 한다면, 이 문장은 사실 자기모순이 아닙니다. 동치인 명제로 바꿔보겠습니다.

~(~Tx & ◇Tx) ∨ (Tx & ◇~Tx)
(Tx ∨ ~◇Tx) ∨ (Tx & ◇~Tx)
[(Tx ∨ ~◇Tx) ∨ Tx] & [(Tx ∨ ~◇Tx) ∨ ◇~Tx]
[Tx ∨ ~◇Tx] & [Tx ∨ (~◇Tx ∨ ◇~Tx)]
Tx ∨ [~◇Tx & (~◇Tx ∨ ◇~Tx)]
Tx ∨ [~◇Tx ∨ (~◇Tx & ◇~Tx)]

즉 이 문장의 진리조건은 임의의 k가
(1) 알렉산더를 가르쳤거나
(2) 알렉산더를 가르치는 것이 불가능했거나
(3) 알렉산더를 가르치는 것이 불가능했고 알렉산더를 가르치지 않는 것이 가능했거나
가 되겠군요. (3)에서 두 번째 연언지는 S5 체계에서 첫 번째 연언지로부터 따라나오니 사실 하나마나한 얘기일 것입니다. 그렇다면 실제로는 (1) 또는 (2)가 참이면 이 문장은 참이 되지요. 만약 둘이 연언이었다면 얘기가 달랐을 것입니다. (혹시 제가 중간에 실수해서 잘못된 결론이 나온 것이라면 알려주세요!)


논의가 약간 복잡해졌으니 정리를 좀 해보겠습니다.

(@) The person who taught Alexander would not have taught Alexander
($) The person who would have taught Alexander would not have taught Alexander
(@-k) 알렉산더를 가르친 사람은 알렉산더를 가르치지 않았을 수도 있었다
($-K) 알렉산더를 가르칠 수 있었던 사람은 알렉산더를 가르치지 않았을 수도 있었다.

(@)는 참이지만 ($)는 불가능하다고 여겨진다.
그런데 ($)의 한국어 번역문 ($-k)는 불가능한 명제로 보이지 않는다.
만약 'would have' 문장이 단지 어떤 것이 가능했다는 것을 의미한다면 ($)와 ($-k)의 번역상의 차이가 설명되지 않는 것 같다.

일단은 이정도인 것 같군요.. 계속 읽다보니 저도 언어적 직관이 흔들리네요 ㅋㅋㅋ

1개의 좋아요

말씀해주신 논문을 훑어봤습니다. 밀도가 높아서 제가 다 정확히 이해했는지는 확신이 서질 않습니다만,

(3) Under certain counterfactual circumstances, the man who would have taught Alexander would not have taught Alexander

라는 문장에 대해서 Wehmeier가 본인의 대안적 체계 S5*에 의거해

(49) ◇ [∃∗x ∀∗y (T∗y ≡ x = y) ∧ ∃∗x (T∗x ∧ ¬T∗x)]

라는 번역문을 제시한게 눈에 띄네요.

여러 논점이 있을텐데 (예. 표준 양상논리에서 현실성 연산자 @를 추가하는 것과는 정반대로 가능세계 하에서 '*'라는 별도의 기호를 붙이는 것), 일단 가장 주목할만한 것은 양화사 ∃∗가 양상 연산자 ◇에 비해 좁은 범위(narrow scope)를 갖는다는 점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오른쪽 연언지를 근거로 문장 (49)는 모순으로 판정되구요.

반면에

(x)[(~Tx & ◇Tx) → (Tx & ◇~Tx)]

에선 (생략된) 양화사가 양상 연산자 ◇보다 넓은 범위(wide scope)를 갖는 것으로 번역되었기에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해당 문장은 한국어 문장

($-K) 알렉산더를 가르칠 수 있었던 사람은 알렉산더를 가르치지 않았을 수도 있었다.

에 상응하는 것 같다는 직관이 오네요.

이러한 영어/한국어 직관이 옳다면, ("would have"에 대한 Wehmeier의 입장이 맞는지 그른지는 차치하더라도) 영어 구문 "would have"와 한국어 구문 "-ㄹ 수도 있었다"는 통사론적이든 의미론적이든 그 작동방식에서 다르지 않나 싶습니다.

2개의 좋아요

(0) 이 부분은 라쿤님이 쓰시다가 오류를 낸 것 같네요.

would have 긍정일 때

이렇게 정의하셨는데

제시된 인용문은 would have 부정문인데도 동일한 기호를 사용하셨더라고요.

나머지 문제는 차차 생각해보겠습니다.

1개의 좋아요

(0)

제 의도는 단순히 would have가 (a) 어떤 것이 가능했다는 가정일 뿐 아니라 (b) 그 가정은 과거에 일어난 사건에 대한 것이며 (c) (과거에 일어난) 그 사건은 이미 완료된 것으로 수정 불가능하다, 라는 정보값을 가진다는 의미였습니다.

그렇다면

와일드버니님이 지적하신대로

이 한국어 번역은 맞지만 동시에 정확하진 않습니다. (a) "수도"가 가정의 기능을 가지고 (b) "었"이 과거 시제를 의미하지만 (c) 완료상에 대한 정보를 명확히 표기하는 요소가 이 문장에는 없기 때문입니다.
(아마 정확히는 한국어에서 진행이나 완료가 추가적인 정보 없이는 굳이 구분할 필요가 없는 정보값인 셈입니다.)

따라서 이 문장은, (실제로 알렉산더를 가르쳤던 사람이든 안 가르쳤던 사람이든 걍 일반인 A든) 알렉산더를 가르쳤을 가능성이 있는 사람이면 누구든, 알렉산더를 안 가르쳤을 수도 있다, 라는 영어 문장과는 꽤 상의한 의미를 가리키는 듯 합니다.

(잘 모르는 양상논리로 바꿔서 쓰자면)
(x)◇Tx → ~ ◇Tx (Tx : x가 알렉산더를 가르침)
만을 한국어 문장은 가리키는 셈이죠.

1개의 좋아요

(0) 이 문제를 곰곰히 보다 드는 의문입니다.

라쿤님은 이 문장을 → 기호를 사용해서 함축문(?)으로 번역하신 듯합니다. (p하면 q하다.)

그런데 이 문장을 동일(?)문으로 번역하면 안 되는건가요?

예를 들어, Tx = (Tx & ~ ◇Tx)로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