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형이상학의 두 가지 핵심 질문, 즉
(1) 복합 대상과 같은 일부 대상이 어떤 의미에서 '파생적(derivative)'인지, 그리고
(2) 존재론적 풍요함의 원리가 어떻게 공식화되고 사회적 영역으로 확장될 수 있는지에 대해 탐구합니다.
저자인 테드 사이더는 이 두 질문이 깊이 얽혀 있음을 주장하며, 논의를 통해 합성물(composite objects)에 대한 우리의 이해가 근본적으로 재고되어야 함을 보여줍니다.
논문은 먼저 '부분론적 풍요함(mereological plenitude)'의 원리를 검토하며 시작합니다. 이 원리는 '무제한적 합성(unrestricted composition)'으로 대표되며, 세상의 경계가 모호하거나 임의적이라는 문제를 피하기 위해 수많은 대상의 존재를 가정합니다. 예를 들어, 호주 아웃백의 경계가 모호한 것은 경계가 불분명한 단일한 '아웃백'이 있어서가 아니라, 약간씩 다른 경계를 가진 수많은 대상들이 존재하고 우리가 '아웃백'이라는 용어로 그중 어느 하나를 특정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나 사이더는 단순히 "임의의 사물 집합은 무언가를 합성한다"고 말하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다고 지적합니다.
이 풍요한 대상들이 우리의 개념적 필요를 충족시키려면, 공간적 속성뿐만 아니라 지질학적 속성과 같은 비공간적 속성도 가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 그는 '아래로부터 위로' 향하는 접근법을 제안합니다. 즉,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근본적인 '원자(atoms)'와 그것들의 근본적인 속성 및 관계를 가정하고, 합성물이 가질 수 있는 모든 속성의 방대한 배열(array of features)이 이 원자들의 속성과 관계로부터 파생된다고 설명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합성물들은 우리의 언어와 개념에 필요한 다양한 속성들을 가질 수 있음이 보장됩니다. 이 모델은 가능세계를 포함하는 양상적(modal) 차원으로도 확장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논문은 이 논의를 사회적 영역으로 확장합니다. 은행 계좌나 법인과 같은 사회적 대상들은 물리적 '부분(part)'을 갖는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부분론적 풍요함의 원리를 직접 적용할 수 없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이더는 '구성(constitution)'이라는 새로운 핵심 개념을 도입합니다. 구성은 대상 사이의 관계가 아니라 명제(proposition) 사이의 관계입니다. 예를 들어, "은행 계좌가 존재한다"는 명제는 "어떤 사람이 특정 문서를 서명했다"는 근본적인 명제에 의해 '구성'됩니다. 이는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닌(nothing over and above)' 환원적인 관계로, 두 명제는 결국 현실의 동일한 측면을 기술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그는 '구성적 풍요함(Constitutional Plenitude)' 원리를 제시합니다: "모든 참인 근본 명제에 대해, 그 명제에 의해 존재가 구성되는 어떤 대상이 존재한다." 여기서 사회적 대상의 속성들, 예컨대 '당좌 예금 계좌'라는 속성은, 그 대상을 구성하는 근본 명제가 갖는 고차원적 속성(예: '서명자가 특정 상자를 체크했다'는 내용을 포함하는 명제라는 속성)에 의해 구성된다고 설명됩니다. 이로써 부분-관계에 의존하지 않고도 사회적 대상을 포함한 광범위한 파생적 대상들의 존재와 속성을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사이더는 '파생적 존재론'의 두 가지 의미를 구분합니다. '엄격한(strict)' 의미에서 파생적 대상이란, 그 대상에 대한 모든 사실이 근본적인 사실들에 의해 '구성'되는 대상을 말합니다. 은행 계좌나 평균 가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반면, '허용적인(permissive)' 의미에서 파생적 대상이란, 단지 다른 대상과 합성(composition) 같은 '구성 관계(building relation)'에 있다는 이유만으로 파생적으로 간주되는 대상을 말하며, 그 존재가 반드시 근본 사실에 의해 구성될 필요는 없습니다. 사이더는 이 구분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허용적 의미의 파생물(예: 집합)을 존재론에 추가하는 것은 세계에 질적으로 새로운 것을 더하는 중대한 metaphysical commitment인 반면, 엄격한 의미의 파생물을 인정하는 것은 그렇지 않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논문은 이 구분을 합성된 물질적 대상(예: 테이블, 산)에 적용하여 그 귀결을 탐구합니다. 만약 합성물이 엄격한 의미에서 파생적이지 않다면(허용적 관점), '부분-관계'는 근본적이고 구성되지 않은 관계가 됩니다. 이는 부분-관계가 극도로 우연적일 수 있다는 급진적인 결론으로 이어집니다. 즉, 특정 원자들이 합성물을 이루는지 여부뿐만 아니라, 전체가 부분의 부분이 될 수도 있다는 식의 관계 역전까지도 형이상학적으로 가능해집니다.
반면, 만약 합성물이 엄격한 의미에서 파생적이라면(구성적 관점), 몇 가지 혁명적인 결과가 따릅니다. 첫째, 모든 것이 부분으로 나뉘는 '겅크(gunk)'의 가능성은 배제됩니다. 둘째, 산과 같은 물질적 대상과 은행 계좌 같은 사회적 대상 사이의 근본적인 형이상학적 차이가 사라집니다. 둘 다 결국 근본 '원자'들에 대한 사실들에 의해 구성되는 평행한 구조를 갖기 때문입니다. 셋째, 이 관점은 '양화사 변이(quantifier variance)'를 강력하게 지지하게 됩니다. 즉, "테이블이 존재한다"는 주장은 근본적인 실체에 대한 것이 아니라, "원자들이 테이블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다"는 근본 명제를 표현하기 위해 우리가 채택한 비근본적인 양화사(quantifier)의 의미에 관한 것입니다.
이 경우, 존재론적 풍요함은 임의성을 피하기 위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며, 임의성 문제는 세상 자체가 아닌 우리의 언어적 결정의 문제로 해소됩니다. 결국 이 논증은 합성물에 대한 전통적인 형이상학적 탐구 방법론 자체를 재고하게 만들며, 존재론의 문제를 세계의 구조에 대한 탐구에서 언어의 의미와 사용에 대한 분석으로 일부 전환시킬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 논문이 갖는 중요한 의의는, 테드 사이더가 자신의 기존 존재론적 실재론을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그가 비판했던 양화사 변이론의 핵심 아이디어를 방법론적으로 차용하여 '근본적 실체'와 '파생적 실체' 사이의 간극을 메우는 정교한 하이브리드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입니다. 그는 존재론을 근본적인 수준과 파생적인 수준으로 나누고, 파생적 대상의 존재는 근본적 실체에 대한 사실을 표현하기 위해 우리가 채택한 '비근본적인 양화사 의미'의 문제라고 주장합니다. 주목할 점은, 그가 일라이 허쉬가 제안한 양화사 변이론의 방법론을 도구적으로 차용하면서도, 모든 존재론적 논쟁이 무의미한 언어적 다툼이라는 허쉬의 반실재론적 귀결로 나아가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대신 사이더는 이 방법론을 사용하여 전통적인 존재론적 논쟁을
(1) 세상의 객관적 구조에 대한 진지한 탐구로서의 ‘무엇이 근본적인가?’라는 질문과,
(2) 이로부터 파생된 비근본적 변이 문장에 대한 언어적 분석으로, 존재론적 논의를 명확히 구분하고 재구성합니다.
결국 이 논문은 형이상학의 오랜 난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존재론적 실재론과 언어철학적 분석을 결합하는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며 기존의 논쟁 지형의 구조를 재정렬하려는 야심 찬 시도라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Sider, T. (2025). Plenitude and derivative ontology. https://tedsider.org/papers/plenitude_and_derivative_ontology.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