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rejection of pleasure and lightheartedness in art is not, however, intended as a rejection of pleasure and lightheartedness as such. Rather Adorno sees art in alliance with both the happiness of sexuality and the childish and lighthearted pleasures offered by the circus, clowns and child’s play. according to Adorno, therefore, art proves its loyalty to the somatic happiness of sexuality precisely by refusing to fulfill and sublimate it. This is what distinguishes art from the culture industry, which betrays this happiness by merely pretending to fulfill it.
(Juliane Rebentisch & Felix Trautmann, "The Idea of the Culture Industry," in Routledge Companion to the Frankfurt School, eds. Peter E. Gordon, Espen Hammer, Axel Honneth (New York/London: Routledge, 2019), p. 22.)
문제의 문장들입니다. 챗 GPT가 제시해준 번역입니다:
그러나, 예술에서 쾌락(pleasure)과 가벼움(lightheartedness)을 거부한다고 해서, 쾌락과 가벼움 그 자체를 전면적으로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도르노는 예술이 성적 행복(sexual happiness), 그리고 서커스, 광대, 어린이 놀이(child’s play)에서 발견되는 유희적이고 가벼운 쾌락(lighthearted pleasures)과 일종의 연대를 맺고 있다고 본다. 따라서, 아도르노에 따르면 예술이 성적 행복(somatic happiness of sexuality)에 대한 충실성을 증명하는 방식은, 그것을 직접 충족시키거나 승화(sublimate)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것을 거부하는 것이다. 이것이 문화산업(culture industry)과 예술을 구별하는 핵심적인 차이점이다. 문화산업은 이러한 행복을 단순히 충족시키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상 그것을 배신한다.
제가 제기하고자 하는 문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따라서"라는 연결어가 잘 이해되지 않는다. 예술이 항상 개인이 세계 안에서 느끼는 갈등과 모순만을 표현해야하고 행복한 순간에 대한 묘사를 일체 금지해야한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줄리안이 말한 것처럼 "예술이 유희적이고 가벼운 쾌락과 일종의 연대를 맺"을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아무리 그렇다고 해도 "따라서 아도르노에 따르면 예술이 성적 행복에 대한 충실성을 증명하는 방식은, 그것을 직접 충족시키거나 승화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것을 거부하는 것이다." 라고 말하는 것은 약간 논리적으로 맞지 않는 것 같다. 여기서 therefore의 번역어로서 "따라서"를 사용하는 것에 약간 의문을 표한다. 만약 이 연결이 "그렇다고는 해도" 내지는 "하지만" 등등으로 이루어졌다면 나름 이해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따라서" 라고 말하려면, 뒤이어 나오는 내용이 "따라서 아도르노에 따르면 예술이 성적 행복에 대한 충실성을 증명하는 방식은 그것을 직접 충족시키거나 승화하는 것이다." 라고 말해야하지 않을까?
여러분들 생각은 어떠신지요.
ps. GPT 결제해서 쓰는데 이거 정말 물건입니다.. 사실 저는 그냥 생각나는대로 구어체로 막 적었는데 제 의문점을 정말 일목요연하게 잘 정리해줘요.. 무섭습니다 솔직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