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개인적으로 공부하는 수리철학의 영역입니다.
오슬로 대학의 Davide Sutto가 쓴 "on modal set theory. three routes to the iterative conception(2022)"이란 문헌인데, 집합론에 대한 문제의식을 전체적으로 조망하고, 그러한 문제의식이 어떻게 zf집합론을 양상 집합론으로 변환하는지를 철학적으로 개괄하면서도, 형식적으로도 체계화 하고 있는 문헌입니다.
처음에 이 주제를 접하게 된 건 괴델 신 존재론적 증명을 살펴보다 우연히 발견한 건데, 괴델은 이 논의의 방향과는 정반대로 양상언어를 통해 구성한 존재론적 증명의 대상이 ultra-filter이라는 수학 개념으로 간주될 수 있다고 한 바가 있습니다. 양상체계를 집합론으로의 변환을 간접적으로나마 시도한 것인데,
어쨋든 이걸 알아보다 양상 집합론이란 키워드를 검색해 우연히 본건데, 관심의 동기는 집합론을 양상 언어로 변환하여 그 공리를 유지한 채 온전히 변환 가능하다는 논의로만 러프하게 접해서, 수학적 공리에 양상 언어에 대한 의미론을 부여하면, 집합론의 공리나 정리를 양상 언어를 사용하는 논증에 적용할 수 있지 않을까? 그렇다면 집합론에 어떠한 양상성을 가진 체계가 가능하며, 이것이 좀 더 일상언어에 가까운 논증을 표현하는 도구로 쓸 수 있는가 하는 궁금증이 그 동기가 되었습니다. 물론 이 책에서 이 분야의 선구자 격인 린네보는 양상 집합론의 도메인에는 수학적 대상만이 가능하다고 보는 것 같다는 입장이 짤막하게 나와서 아쉽긴 했지만요.
어쨋든 혼자서 공부하고 있는 입장이라, 그리고 생소한 분야라 공부가 더디긴한데, 관심있는 사람이 더 있으면 좋지 않을까 싶어 조금씩 직역문에 가까운 요약 정리문을 가끔씩 적으려 하는데, 혹시 같이 공부하실 분 계시다면, 언제든 쪽지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혼자 공부하니 너무 외롭습니다ㅋㅋ)
양상 집합론은 집합론에서 러셀과 서수에 관한 Burali-Forti 역설, 즉 전체 집합이라는 proper class의 존재로부터 야기된 논의이다.
해당 역설들은 집합론을 구성하는 적합한 체계에 대한 고민보다 더 초등적인 질문인 집합이 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을 발생시키는데, 이에 대한 논의들은 칸토어, Boolos Parsons, Hao Wang등의 학자들에게서 볼 수 있다.
그들은 이러한 질문에 대한 접근법으로 다소 묘사적인narrative 접근법을 채택하는데, 이는 어떻게 집합 형성 과정이 진행되는가에 관해 우리의 직관을 잘 설명한다.
집합의 형성에 대한 네러티브한 서술이 어떻게 집합론의 공리를 잘 설명하면서도, 집합을 형성하는 것에 대한 우리의 직관을 해치지 않을 수 있는가에 대한 논의는 집합의 반복적 구상iterative conception of set으로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다.
네러티브한 이론들 중에서 반복적 구상은 가장 유명한 것이며, 이것은 러셀의 역설에 대한 제르멜로의 응답인 랭크, 즉 유형론이 그 논의의 선조격이 된다. 그리고 이후 불로스로 이어진다.
불로스의 논의는 집합에 대한 반복적 구상을 포착하는 가장 훌륭한 방식으로 여전히 인정되며, 최근에는 오스틴 린네보가 plural logic과 양상 논리의 조합으로 이 구상을 형식화 하고, 이는 양상 집합론의 중요한 이정표가 된다.
린네보의 관점은 칸토어가 집합이 될 수 있는 존재와 없는 존재를 일관적 다수consistent multiplicity와 비일관적 다수로 구분하는 작업에 기반한다. 린네보는 집합에 대한 축적적 계층에 내재적으로 잠재적인 특성을 귀속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문헌의 목표는 양상 집합론에 대한 현대적 논재의 상태를 다루는 것. 정확히 는 반복적 개념에 암묵적으로 내재된 양상적 특징을 일관적으로 추출해, 집합들의 '잠재적' 축적적 계층을 기반하는 새로운 구상을 진행하는 것이며, 여기에 세가지 선택지가 있다 : 린네보의 unimodal 접근법, Studd의 bimodal 접근법, Tim Button의 환원주의적 접근.
결과적으로 두 가지 질문들에 의해 인도된다 : "양상적 접근은 단지 비-양상적 이론의 표기적인 접근에 불과한가?", "만일 아니라면, 구분되는 특징은 무엇이며 무엇을 선택해야 하나?"
린네보와 Studd는 퍼트넘이 양상과 비-양상 사이 동치로 봤던 논제를 일축하기 위해 유발된 것이다. 더구나 앞선 두번째 질문에 관해 린네보의 접근은 Studd보다 더 본질적으로 이상적인 무게를 가지고, 양상 집합론의 내재적인 다원적 본성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더 특권적이다. 그러나 린네보는 bimodal접근에서 나타나는 필연성과 단점들로부터 자유롭지 않다. 그리고 이러한 업무를 달성하는 최선의 선택지는 Button에 의해 개괄되는 양상-집합론을 배제하길 원하는 잠재주의적 설명에 의해 개별화 된다. 본 문헌은 다음에 따른다
ch.0. 현대적인 양상적 접근의 전제가 되는 학제들에 대한 역사를 수집
ch.0.1 : 초기 관점
- 칸토어의 일관적 다수와 비일관적 다수의 정의를 통한 집합 형성의 과정에 대한 그의 관점
- 초기 제르멜로의 공리적 집합론과 그가 제시한 축적적 계층에 대한 모델
ch0.2. 반복적 구상에 대한 출발점 - 불로스의 형식화의 원형과 개념의 철학적 논의
- Parsons의 집합과 양상성에 대한 연구, 이것에서 나타나는 잠재적인 조직화
- 더밋의 무한정한 확장성indefinite extensibility에 대한 해석
- Yablo의 소박한 comprehension principle에 대한 이해
ch.1. 린네보에 대한 작업을 제시
- 어떻게 복수적, 양상적 도구를 사용해 반복적 구상을 조직하는가에 대한 비형식적인 설명을 제공한다
- 형식화에 대한 조직화 : 양상적 접근을 통해 ZF집합론을 제시하기 위해 공리와 더 근본적인 정리들을 제시
- 린네보의 이론에 대한 효용에 대한 분석
ch.2. Studd의 bimodal 접근에 대한 포괄적인 해명을 제공
- 형식적인 관점으로부터 이론의 핵심을 제시
- 철학적인 접근에 대한 집중, 이는 초기 형식화 이후에 발생한 주요한 변화들을 지적할 것
- 비용 효율적인 분석을 통해 이러한 접근의 장단을 조명
ch.3. Tim Button의 환원주의적 이론
- level theroy의 핵심을 제시, 이것은 그의 비-양상적 제안이며, 어떻게 이것이 블로스와 Scott이 제시한 원래의 접근들로부터 발전되는지를 보임이면서 제시할 것
- Button 그 자신이 제시한 양상적 접근을 제시, 이는 퍼트넘의 동치 논증을 통해 상대화 하는 것에 이용된다
- 비용효율적인 분석
ch.4. 세가지 개괄된 제안들의 양립가능성에 대한 고찰
- 양상적, 비-양상적 집합론에 대한 궁극적인 비-환원성에 대한 접근. 이는 각 입장들의 차이점을 수집하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 이는 세가지 설명들이 공유하는 결과에 의한 형식적 단계에서 예화될 수도 있다
- Studd의 비판. 즉 이념적인 비용과 절대적인 일반성에 대한 비판으로부터 린네보를 옹호하는 식으로 변호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