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하나님의 존재의 자기 관계성 (하나님의 세 가지 존재 방식의 구분 안에서)
하나님이 자신과 일치하신다는 것은 관계적 진술(Relationsaussage)입니다. 이 진술은 하나님의 존재가 관계적으로 구조화된 존재(relational strukturiertes Sein)임을 의미합니다. 하나님의 존재의 관계적 구조는 계시(Offenbarung)라는 현상에서 드러나며, 계시 자체도 관계적으로 구조화되어 있습니다. 바로 이 관계적 구조 안에서 계시는 하나님의 존재의 관계적 구조를 표현합니다. 그러나 "구조(Struktur)"라는 개념은 부동성(Unbeweglichkeit)의 의미로 오해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하나님의 존재의 관계들은 계시를 통해 드러나며, 이는 “발생적 관계(genetische Beziehungen)”에 관한 것으로, 이를 통해 하나님의 존재는 다양한 존재 방식(Seinsweisen)으로 구별됩니다.
바르트(BARTH)는 "존재 방식(Seinsweise)"이라는 개념을 통해 초기 교회의 용어인 τρ ό πο ς ὑπ ά ρξεω ς를 차용하여,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위격(Person)" 개념을 대체하려 했습니다. 하나님의 단일한 존재는 세 가지 서로 다른 존재 방식으로 구별됩니다. 이 세 가지 존재 방식의 구별은 그들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에서 이해되어야 합니다. 하나님의 존재 방식들은 그들 간의 관계를 통해 주어진 고유한 특징들에 의해 "존재 방식"으로 규정됩니다. 하나님의 존재 방식을 오직 이 관계를 통해 상호 구별되며 각각의 고유성을 형식적으로 지닌 것으로만 이해할 때, 계시 개념에서 하나님의 존재의 "삼위일체적 통일성(Dreiheit in der Einheit)"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존재 방식들이 그의 (경제적 삼위일체적) 계시의 현실성과 (내재적 삼위일체적) 계시의 가능성에서 서로 대응한다는 것은 *관계의 유비(analogia relationis)*와 *외재적 귀속의 유비(attributionis extrinsecae)*의 의미에서만 가능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존재 방식들의 구별을 계시 개념에서의 하나님의 사유 내용의 차이로부터 도출하는 것은 바르트에 따르면 불가능합니다. 하나님의 존재 방식들이 계시 안에서 내용적으로 반복된다는 *내재적 귀속의 유비(analogia attributionis intrinsecae)*는 논의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세 존재 방식의 상대적으로 구별된 계시됨(Offenbarwerden)은 그들 자신 안에서의 대응되는 구별됨을 의미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하나님의 세 존재 방식의 구별됨 속에서 하나님의 존재의 통일성이 증명되어야 합니다. 세 존재 방식의 구별과 그것들의 "구별됨 속에서의 일체성(Einssein in diesem Verschiedensein)" 사이의 관계를 판단하는 핵심 기준은 삼위일체 신학의 규칙인 opera trinitatis ad extra sunt indivisa ("삼위일체의 외적 사역은 나뉘지 않는다")입니다.
이 규칙(opera trinitatis ad extra sunt indivisa)을 무시하고, 하나님의 세 존재 방식의 상대적으로 구별된 계시됨(Offenbarwerden)과 그들 자신 안에서의 구별됨 사이에 내용적 유비(analogia attributionis intrinsecae)가 있다고 주장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하나님의 존재의 계시됨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계시가 하나님의 자기해석(Selbstinterpretation)이자 자기정체성(Selbstidentifikation)이라는 점은 확실하지만, 자기정체성의 사건과 분리된 정체성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만약 그러한 정체성이 존재한다면, 이는 부당하게 계시로 간주된 존재일 것입니다. 이런 경우, 삼위일체의 alius, alius, alius (서로 다른 세 위격)이 aliud, aliud, aliud (서로 다른 세 본질)로 왜곡되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계시가 하나님의 자기정체성의 사건으로 이해된다면, 계시는 계시자(Offenbarer), 계시됨(Offenbarwerden), 그리고 계시됨 자체(Offenbarsein)의 차이 속에서 구성되는 통일성을 통해 관계적 유비(analogia relationis)를 제공합니다. 이 유비는 하나님의 존재를 세 가지 존재 방식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합니다. 계시가 a) 계시의 근원(Woher der Offenbarung), b) 이 근원에 근거한 계시됨(Offenbarwerden), c) 이 근원과 계시됨에 근거한 하나님의 계시됨(Offenbarsein)으로 구별되는 것처럼, 하나님은 "하나님이 하나님이신 본질(Wesen) 혹은 행위(Akt)에서 하나의 순수한 근원(reiner Ursprung)과 두 가지 다른 발출(Ausgänge)이 구별됩니다. 이 중 첫 번째 발출은 오직 근원에서 비롯되며, 두 번째 발출은 근원과 동시에 첫 번째 발출에서도 비롯됩니다." 이 방식으로 하나님은 하나님이시며, 그가 이 관계들 안에서 자신과 관계를 맺으십니다.
하나님의 존재는 그 자체 안에서 구별되고 서로 관계를 맺는 존재입니다. 여기서 관계는 구별을 구성합니다. 이는 이러한 관계들이 하나님 안에서 단순한 중립적 구조 요소가 아니라, 하나님의 존재가 순수한 사건(reines Ereignis)임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하나님 안에서의 반복(repetitio in Deo)", 곧 "영원 속에서 영원의 반복(repetitio aeternitatis in aeternitate)"으로, 이를 통해 계시된 하나님의 통일성이 다른 모든 통일성이라 불릴 수 있는 것과 구별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존재는 외부의 그 어떤 것에 의해서도 설명될 수 없으며, summum ens (최고 존재)라는 형이상학적 칭호를 주장할 필요도 없습니다. 그런 칭호를 부여하는 것은 오히려 하나님의 존재를 사건으로서 지니는 내적 우선성을 박탈하는 것이며, 하나님을 단순히 경험된 존재의 고양된 형태로 이해하게 만들 것입니다. 이러한 칭호를 부여하는 것은 alius-alius-alius (서로 다른 세 위격)이 aliud-aliud-aliud (서로 다른 세 본질)로 왜곡되는 것을 간과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존재에서 통일성과 구별성의 존재론적 조화(ontologische Eintracht)는 그 어떤 유비도 가지지 않습니다. 이는 이 조화가 "유일무이한 하나님의 삼위일체적 통일성(die singuläre göttliche Dreiheit in der singulären göttlichen Einheit)"이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의 존재가 사건으로서의 고유성을 유지하려면, 이는 "세 위격으로 구성된(Gedritt)"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네 위격으로 구성된(Geviert)" 것으로는 이해될 수 없습니다. "네 위격" 개념에서는 철학자가 존재를 사건으로 이해하려고 시도합니다. 그러나 이 경우, 그는 하나님의 유일무이한 고유성을 포기한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하나님이 그의 "세 위격(Gedritt)", 즉 성부(Vater), 성자(Sohn), 성령(Geist) 안에서 이미 우리의 하나님이라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이러한 하나님의 존재는 자유로운 사건으로서 사랑(Liebe)입니다. 하나님의 고유한 사랑은 바로 그의 "세 위격"으로 표현됩니다. 하나님은 자신을 우리에게 내어주심으로 우리와 관계를 맺으며, 이 내어줌(Hingabe)은 하나님이 스스로와의 관계 안에서 자신을 소유하는 방식입니다. 하나님의 존재는 세 위격 사이의 상호 내어줌을 통해 사건으로 나타납니다. 이러한 이유로 하나님의 존재는 사랑으로서 추상적 개념이 될 수 없습니다. 하나님은 그의 존재 안에서 스스로를 결코 잃지 않습니다(non sibi detrahitur). 이는 인간과 대조됩니다. 왜냐하면 인간의 자기지향성(homo incurvatus in se)은 그가 자신에게서 멀어짐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롬 1:18 이하).
d) 하나님의 존재의 구체성 (하나님의 세 존재 방식의 페리코레시스와 전유)
우리는 바르트(BARTH)의 삼위일체 교리가 하나님의 자기해석에 대한 교의학적 해석으로서 반형이상학적이고 반신화적 의미를 가진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교리는 하나님의 존재를 사건으로 사고하도록 가르침으로써, 하나님을 자신을 계시하는 분으로 사고할 수 있게 합니다. 바르트의 삼위일체 교리는 하나님의 존재를 사건으로 사고하려 하며, 이를 하나님의 존재를 구별되고 그 자체 안에서 차별화된 존재로 이해함으로써 시도합니다. 이는 하나님의 존재 방식(Seinsweisen), 즉 하나님이 하나님으로 계시는 방식들 사이를 구별함으로써 이루어집니다. 하나님은 성부(Vater), 성자(Sohn), 성령(Geist)로서 세 존재 방식으로 구별되며, 이들은 상호 관계 속에서 생각될 때 구별됩니다. 세 존재 방식 사이의 관계는 하나님의 존재의 자기지향성(Selbstbezogenheit)으로 이해되어야 합니다. 이 자기지향성 속에서 하나님의 존재는 사건으로 이해됩니다. 하나님의 존재의 자기지향성은 하나님의 자기해석을 가능하게 합니다. 하나님은 성부, 성자, 성령으로 계시하십니다. 이는 그가 성부, 성자, 성령으로 하나님이시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의 존재의 자기지향성은 세 존재 방식이 서로에게 자신을 내어주는(Hingabe)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하나님이 우리의 하나님이 되시는 내어줌의 예시입니다. 만약 하나님이 우리의 하나님이 되시는 이 내어줌을 구체적 사건으로 사고하려면, 우리는 하나님의 존재를 이 존재의 자기지향성의 사건 안에서 구체적 존재로 생각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존재를 자기지향성의 사건으로 사고하겠다는 주장은 그의 존재가 구체적 사건임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공허할 것입니다. 따라서 하나님의 세 존재 방식의 통일성이 구체적 통일성이라는 점, 그리고 이 구체적 통일성 안에서 세 존재 방식의 구별됨이 구체적 구별됨으로 남는다는 점을 이해하도록 해야 합니다. 이러한 이해를 추구하는 사고는 필연적으로 더 어렵고 "추상적"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이는 성급히 "하나님은 구체적이다, 객관적이다, 실체적이다"라고 자주, 크게 주장하는 신학자들에게 신중함을 권할 만한 것입니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바르트(BARTH)의 삼위일체 교리에서는 페리코레시스(Perichorese, 상호내재)와 전유(Appropriation, 전유의 교리)가 활용됩니다. 이러한 교리들을 통해 하나님의 존재의 구체성을 사고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사고 과제가 단순한 사고의 전제(Denkpostulate)가 아니라는 점은 이미 이전 논의에서 충분히 강조되었으므로, 이를 다시 언급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는 오히려 이미 이루어진 계시로 인해 신학에 부여된 체계적 문제들에 대처하려는 노력의 일환입니다. 바르트(BARTH)에 따르면, 하나님의 존재는 계시된 존재(Offenbarsein) 안에서 구체적이며, 이는 역사적 사건으로 나타납니다. 이 구체성 속에서 하나님의 자기 전달(Selbstmitteilung)이 이루어집니다. 하나님의 자기 전달은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교제를 가능하게 합니다. 하나님이 인간에게 자신을 전달하시는 과정에서, 삼위일체 신학의 규칙인 opera trinitatis ad extra sunt indivisa ("삼위일체의 대외적 사역은 나뉘지 않는다")에 따라 세 존재 방식(Seinsweisen) 모두가 함께 활동합니다. 하나님이 인간에게 자신을 구체적으로 전달하시는 과정을 철저히 이해하려면, 세 존재 방식의 구별 안에서 하나님의 존재의 자기지향성(Selbstbezogenheit)도 하나님의 존재가 구체적으로 이루어지는 교제(Gemeinschaft)로 이해되어야 합니다. 이 교제는 “각 존재 방식이 다른 존재 방식에 완전하게 참여(vollständige Teilnahme)함으로써” 형성됩니다. 이러한 상호 참여를 통해 세 존재 방식은 구체적으로 하나가 됩니다. 이 구체적 일치 속에서 그들은 하나님이십니다. 여기서 "되기(Werden)"와 "존재(Sein)"는 본래적으로 함께합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존재의 구체적 일치는 "항상 하나가 되어가는(Einswerden)" 통일(Einheit)이기 때문입니다. 어느 하나의 존재 방식도 다른 존재 방식들로부터 추상적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습니다. 또한 세 존재 방식 간의 관계 역시 하나님의 존재의 추상적 구조가 아닙니다. 세 존재 방식 간의 관계는 상호 참여(Teilnahme)로 이루어지며, 이는 circumincessio 또는 περιχ ώ ρησι ς (페리코레시스, 상호내재)로 표현됩니다. 이 상호 참여는 “한 존재 방식이 다른 존재 방식에 대해 배타적으로 행동하는 것을 배제하는 '서로 안에서 걷는(Ineinanderschreiten)'” 방식입니다.
오히려 페리코레시스는 “하나님의 존재 방식들이 서로를 완전히 조건지우고(bedingen) 관통(durchdringen)하여, 한 존재 방식이 항상 다른 두 존재 방식 안에 존재하고, 그 두 존재 방식도 그 안에 존재하도록 만든다”고 설명합니다. 페리코레시스의 교리는 하나님의 존재의 구체적 일치를 사고하며, 하나님의 존재 방식들이 제한 없는 상호 참여 속에서 서로를 만나는 방식으로 이해됩니다.
인간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은 사건에 대해 이와 같은 신학적 진술을 함으로써 플라톤주의적 형이상학이 조장되고, 이에 따라 하나의 세계에서는 "하나님이 그 자체로 존재(Gott für sich)"하고, 다른 세계에서는 "우리와 함께 계시는 하나님(Gott für uns)"이 존재한다는 식으로 현실을 두 "세계"로 나누는 것이 아니냐는 반론이 제기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 바르트(BARTH)는 그의 모든 삼위일체 신학적 진술이 하나님의 현실(Wirklichkeit Gottes)의 통일성을 목표로 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본질(Wesen)과 작용(Wirken)은 두 가지가 아니라 하나입니다.” 물론 바르트는 하나님의 현실과 하나님의 작용에 의해 생겨난 현실을 엄격히 구분합니다. 그러나 바르트에게 있어 하나님의 작용과 본질은 두 가지가 아니기 때문에, 하나님의 현실과 그의 작용에 의존하는 현실이 서로 두 개의 다른 존재론적 층으로 작용하거나, 심지어 χ ῶρο ς에 의해 나뉜 두 세계처럼 분리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만약 하나님의 현실을 지상의 현실에 "추가된(hinzutreten)" 또 다른 현실로 간주한다면, 하나님에 대한 모든 진술은 단순히 추가적이고 따라서 불필요한 진술이 될 것입니다. 따라서 슐라이어마허(SCHLEIERMACHER)의 비판을 다시 떠올려야 할 때일 것입니다. 그는 “이 세계와 저 세계를 구분하는 자는 스스로를 속이는 것이다”라고 경고했습니다.
바르트(BARTH)가 말하는 하나님의 현실(Wirklichkeit Gottes)은 이를 “저 세계”로서 “이 세계”와 대립되는 것으로 이해한다면 잘못 이해한 것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을 하나님으로 생각하는 것은 전혀 다른 문제입니다. 바르트가 “하나님의 현실”을 말할 때 의도하는 바는 이것입니다. 하나님은 그의 본질(Wesen)과 작용(Wirken) 안에서 하나님이십니다. “하나님의 작용은 (!) 하나님의 본질입니다. 이는 곧 하나님이 계시자(Offenbarer), 계시(Offenbarung), 계시된 존재(Offenbarsein), 창조자(Schöpfer), 화해자(Versöhner), 구속자(Erlöser)이신 본질입니다. 이러한 그의 작용 안에서 하나님은 우리에게 계시됩니다." 바르트는 하나님의 “자기를 계시하는 자로서의 본질(Wesen als des Sichoffenbarenden)”과 “그 자체로서의 본질(Wesen Gottes als solches)"을 구분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구분은 하나님이 “그의 본질에 의해 강요된 것이 아니라,” “자유로운 선택(freier Entscheidung)”으로 자신을 계시하신다는 것을 설명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따라서 “하나님의 작용이 그가 구별하신, 창조하시거나 이미 창조된 현실과의 관계 안에서 하나님의 본질이다”라는 주장은, 계시자로서의 하나님과 계시를 가능케 하시는 하나님의 존재의 구체적 통일성을 주장하려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계시 능력(Offenbarungsmächtigkeit) 또는 그의 본질 자체(Wesen Gottes als solches), 곧 하나님의 존재 그 자체는 인간이 자신의 세계 외부에서 발견할 수 있는 또 다른 세계로 이해될 수 없습니다. 오히려 이는 하나님의 존재를 적절히 말하려는 시도입니다. 이는 하나님의 존재에 대한 모든 언급이 그의 계시된 존재(Offenbarsein Gottes)로부터 이루어진다는 점을 고려하며, 이 계시된 존재가 진정 하나님의 계시된 존재로 이해될 수 있도록 사고하려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작용에 대해 적절히 말하려면, 그 작용하는 분의 본질에 대해 언급해야 합니다. 그러나 이 본질은 계시를 통해 엄격히 사고됩니다. 이는 물질(Substanz)로서가 아니라, “성부(Vater), 성자(Sohn), 성령(Geist) 사이의 통일성”이며, 이 통일성은 그들의 대외적 통일성에 상응합니다. 하나님의 존재 방식들 사이의 이러한 통일성을 하나님의 존재의 구체성으로 사고하는 것이 페리코레시스(Perichorese) 교리의 의미입니다. 이는 하나님에 대해 책임감 있게 말하려는 시도입니다.
하나님의 존재의 구체성은 동시에 하나의 역동적 상호작용(Gegenbewegung) 속에서 사고되어야 합니다. 이는 계시를 불필요하게 만들기 위함이 아니라, 계시에 의해 인도받아 하나님의 세 존재 방식(Seinsweisen) 간의 관계에서, 그들 내부에서의 통일성과 외부로 드러나는 통일성 간의 상응 관계를 이해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논의의 초점은 삼위일체 신학적 규칙인 opera trinitatis ad extra sunt indivisa (“삼위일체의 대외적 사역은 나뉘지 않는다”)의 정당성을 확립하는 데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정당성을 확립하려면 하나님의 존재를 계시자(Offenbarer), 계시(Offenbarung), 계시된 존재(Offenbarsein)로서의 작용에서 이해해야 하는데, 이는 하나님의 세 존재 방식의 구별이 창조(Schöpfung), 화해(Versöhnung), 구속(Erlösung)의 사역에서 명백히 드러나는 것과 같습니다. 동시에, 하나님의 존재 방식들이 그들의 작용 안에서 통일성을 지닌다는 점도 이해되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는 즉시 삼신론(Tritheismus)의 오류에 빠질 것입니다.” 여기서 발생하는 어려움은 다음의 질문으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존재 방식들의 통일성이 그들의 작용 안에서 드러나되, 그들의 구별성을 훼손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결국, 이 논의는 하나님의 작용 안에서 존재 방식들의 통일성과 구별성의 조화를 탐구하는 것입니다.
“고대 교의학의 언어”에서 이 문제는 *전유 교리(Appropriation)*라는 이름으로 논의되었습니다. 전유는 하나님의 세 존재 방식(Seinsweisen) 중 하나에 특정 논리적 술어를 특별히 귀속시키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바르트(BARTH)는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von Aquin)의 정의를 인용하며 이를 지지합니다: appropriare nihil est aliud quam commune trahere ad proprium (“전유는 공통적인 것을 고유한 것으로 가져오는 것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여기서 commune은 “특정 인격(persona)의 고유한 것과 다른 인격의 고유한 것보다 더 큰 유사성을 지닌” 경우, 해당 인격에 전유됩니다. “전유(Per appropriationem)을 통해 각각의 행위와 속성은 하나님의 특정한 존재 방식(Seinsweise)에 주목되어야 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비로소 그러한 행위와 속성을 해당 존재 방식에 속한 것으로 부를 수 있게 됩니다.” 전유는 삼위일체의 통일성 안에서 특정 속성과 행위를 각 존재 방식에 특별히 귀속시키는, 하나님의 존재를 규정하는 해석학적 과정입니다. 그러나 전유는 특정 속성과 행위를 특정 존재 방식에 귀속한다고 해서 다른 존재 방식들로부터 이를 배제하지 않습니다. 바르트는 이렇게 말합니다. “전유는 결코 하나님의 모든 존재 방식과 그의 전체 존재 및 행위 안에서의 임재를 망각하거나 부정한 상태에서 이루어져서는 안 됩니다.” 전유는 “삼위일체 내적 특수성을 인식하면서 동시에 하나님의 통일성을 인식하도록 보장합니다.” 삼위일체의 세 존재 방식의 통일성은 전유를 통해 각 존재 방식이 고유한 본성을 갖고 표현될 때 비로소 구체적 통일성으로 입증됩니다. 다시 말해, 하나님의 세 존재 방식의 통일성은 세 존재 방식의 구별성을 구체적으로 보존할 때 구체적 통일성으로 입증됩니다. 이렇게 할 때, 하나님의 존재 방식들의 구체적 통일성은 구체적 구별성과 결합되어 하나님의 존재의 구체성으로 표현됩니다. 하나님의 존재의 구체성으로서 이 조화는 하나님의 세 존재 방식의 통일성과 구별성 속에서 하나님이 단순히 존재할 뿐만 아니라 자신을 드러내는 근거가 됩니다. “하나님의 본질 안에서 세 존재 방식이 서로 안에서(Ineinander) 그리고 서로 함께(Miteinander) 있는 것에 정확히 상응하는 것은 하나님의 작용에서 그들이 서로 안에서 그리고 함께 있는 방식입니다.”
우리는 전유(Appropriation)를 해석학적 과정이라고 불렀습니다. 이는 전유을 통해 하나님의 존재 방식(Seinsweise) 중 하나가 “본래의 것으로서 지칭될 수 있게 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전유는 예를 들어, 하나님을 아버지로 표현할 수 있는 가능성입니다. 전유는 “루터의 교리문답에서 ‘아버지와 창조’, ‘아들과 구속’, ‘성령과 성화’라는 개념이 잘 알려진 긴밀한 관계 속에서 서로 연결될 때”에도 볼 수 있습니다. 바르트(BARTH)에게 전유 교리는 “계시에 의해 세상에서 설정된 하나님의 존재 방식들에 대한 유비”를 인식하는 데 초점을 둡니다. 신학적 전통과 바르트 역시 전유를 해석학적 과정으로 이해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각 삼위일체 인격(persona trinitatis)이 신학자에 의해 지칭되는 행위와 관련됩니다. 즉, 신학자가 전유를 수행합니다. 그러나 바르트의 용어 사용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는 전유를 수행했다...” 그러나 보나벤투라(Bonaventura)는 “스스로 전유의 풍부함을 보여주었다...”라고 말합니다. 여기서 보나벤투라는 이미 수행된 전유를 보여줍니다. 그렇다면 누가 전유를 수행했습니까?
바르트(BARTH)는 전유(Appropriation) 교리를 위한 개신교 교의학의 핵심 규칙을 다음과 같이 제시합니다. “전유는 자유롭게 창작되어서는 안 됩니다. 참된 전유는 성경에서 문자적으로나 내용적으로, 혹은 둘 모두에서 비롯되어야 하며, 성경 안에서 이미 이루어진 전유를 재현하거나 해석한 것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신학자가 전유를 수행하는 것은 성경 안에서 이미 이루어진 전유 과정을 따라가는 해석학적 접근(hermeneutisches Vorgehen)입니다. 또한 성경이 계시를 증언하기 때문에, 우리는 전유가 계시 안에서 자신의 인식 근거(ratio cognoscendi)를 찾는 해석학적 과정임을 이해해야 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바르트는 “계시에 의해 세상에 세워진 유비(Analogien)”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그러나 바르트(BARTH)에게 계시는 하나님의 자기해석(Selbstinterpretation Gottes)이기 때문에, 전유(Appropriation)는 하나님의 존재 방식(Seinsweisen) 간의 구별을 드러내는 교제 자체 안에서 자신의 존재 근거(ratio essendi)를 갖습니다. 전유(Zueignung)는 하나님이 자신의 존재를 성부, 성자, 성령으로서 스스로 귀속시키는 과정입니다. 전유는 하나님이 자신의 존재를 삼위일체 하나님으로 스스로 귀속시킨다는 점에서 귀속 행위입니다. 이로써 하나님은 스스로를 자신과 일치시킵니다. 따라서 전유는 하나님의 기원 관계(Ursprungsverhältnisse)의 구별에 추가로 부여되는 사건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됩니다. 전유는 단지 신학자 전유를 통해 하나님의 개별적인 존재 방식을 명명하려고 시도할 때, 비로소 부수적인 과정이 됩니다. 그러나 이 명명 과정은 하나님의 존재 방식의 구별 속에서 기원 관계의 차이를 드러내는 바로 그 사건에 부합해야 합니다. 이는 하나님이 자신의 존재를 성부, 성자, 성령으로 스스로 귀속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우리는 이제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자신의 존재 방식을 하나로 묶는 조화 속에서, 자신이 되고자 하시는 분으로 스스로를 표현함으로써 구체적(konkret)입니다. 간단히 말해, 하나님은 성부, 성자, 성령으로서 자신의 존재를 스스로 귀속시키고, 이로써 자신과 일치함으로써 구체적이십니다. 하나님의 존재의 이러한 구체성 안에서 하나님이 자신을 계시하실 수 있는 근거가 있으며, 계시 속에서 하나님의 세 존재 방식이 하나님의 사역 안에서 "서로 안에서(Ineinander) 그리고 서로 함께(Miteinander)" 존재하는 방식이, 하나님의 본질 안에서의 "서로 안에서 그리고 함께 있음"에 정확히 상응하게 됩니다. 하나님은 계시라는 자기해석(Selbstinterpretation) 안에서 자신을 표현하십니다. 여기서 하나님은 자신을 (목적격) als den 표현하시되, 자신을 (주격) als der로 조화롭게 만든 방식으로 표현하십니다. 이는 그가 자신의 존재를 성부, 성자, 성령으로 귀속시키는 방식에서 나타납니다. 이러한 als den과 als der의 차이는 다소 과장되어 보일 수 있지만, 이는 중요한 신학적 차이를 드러냅니다. 하나님이 계시에서 자신을 als den , 곧 자신이 되시는 분으로 표현하신다는 것은 자기 해석(Selbstauslegung)의 과정이며, 이는 그가 자신의 존재를 귀속시키는 과정과 구별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이 자신의 존재를 성부, 성자, 성령으로 귀속시키시는 것은 자신을 구체적인 분(als der konkret ist)으로 조화롭게 드러내는 방식입니다.
지금까지의 논의는 바르트(BARTH)가 삼위일체 교리를 통해 deus nudus (드러난 하나님)와 deus incarnatus (성육신한 하나님)의 대립을 방지하려 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왜냐하면 삼위일체 교리는 “우리를 계시와 신앙을 넘어가게 하려는 것이 아니라, 계시와 신앙 안으로, 그리고 그것의 올바른 이해로 이끌기” 위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전유(Appropriation) 교리와 하나님의 존재를 구체적 사건(konkretes Ereignis)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르트의 전체 교의학, 특히 그의 선택 교리(Erwählungslehre)와 후대의 화해 교리(Versöhnungslehre)를 근본적으로 형성하고 있음을 입증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