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Analysis Vol. 70, No. 4에 실린 갤런 스트로슨(Galen Strawson)의 논문입니다. (갤런 스트로슨은 피터 스트로슨의 아들이기도 하죠)
갤런 스트로슨의 논문을 좀 찾아보려다가 발견하게 되었는데요, 무려 한 쪽짜리 논문입니다. 어떤 경위로 학술지에 실리게 됐는지 신기하기도 하고 해서 간단히 번역해봅니다.
나는 1972년에 철학을 시작했다. 그리고 '다른 조건이 같다면'(ceteris paribus)이라는 말이 빠지긴 했지만 사실상 아래의 것들이 내가 욕구, 믿음, 의미와 이해, 느낌과 감정, 의식, 사물, 성향적 속성, 인과, 존재에 대해 이해하려 할 때 주어진 것들이었다.
(1) 욕구(Desire, Wanting, Liking, etc.) : 내가 어떤 것을 원하기 때문에 그것을 얻으려 노력하는 것이 아니다. 내가 얻으려 노력하기 때문에 그것을 원하는 것이다.
(2) 믿음(Belief) : 나는 어떤 정보가 참이라고 믿기 때문에 그 정보에 기해 행위하는 것이 아니다. 내가 그 정보에 기인해서 행위하기 때문에 혹은 행위하는 성향이 있기 때문에 나는 그것을 참이라고 믿는 것이다.
(3) 의미와 이해(Meaning and Understanding) : 내가 어떤 단어의 의미를 알기 때문에 그것을 바르게 사용하는 것이 아니다. 내가 어떤 단어를 올바르게 사용하기 때문에 그것의 의미를 아는 것이다.
(4) 느낌과 감정(Feeling and Emotion) : (예를 들어) 내가 화가 났기(I am angry) 때문에 화를 표출하는 것도(show anger), 화가 났기 때문에 화를 표출하려 하는 것(inclined to show anger)도 아니다. 나는 화를 표출했기 때문에, 혹은 화를 표출하려 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화가 난 것이다. (다른 모든 감정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5) 의식(Consciousness) : 경험적인 의미에서 내가 나인 무언가가 있기(there is something it is like to be me, experientially speaking) 때문에 내가 의식이 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나는 (관찰가능하게) 이렇게 저렇게 행동하거나 행동하는 성향이 있기 때문에 내가 의식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6) 사물(Objects) : 내 앞에 탁자가 있기 때문에 내가 탁자에 대한 경험(tableish experiences)을 갖는 것이 아니다. 내가 특정한 탁자에 대한 경험을 갖고 있기 때문에 내 앞에 탁자가 있는 것이다.
(7) 성향적 속성(Dispositional Properties; power) : 깨지기 쉽기(fragile) 때문에 떨어진다면 깨지는 것이 아니다. 그것이 떨어진다면 깨질 것이기 때문에 깨지기 쉬운 것이다.
(8) 인과(Causation) : A가 B를 야기하기 때문에 언제나 B가 A를 따르는 것이 아니다. B가 언제나 A를 따르기 때문에 A가 B를 야기하는 것이다.
(9) 존재(Existence) : 내가 존재하기 때문에 내가 다른 사물들에게 영향을 끼치는 것이 아니다. 내가 다른 사물들에게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내가 존재하는 것이다.
나에겐 이 모든 주장들이 다 거꾸로 되어 있는 것처럼 보였다. 이 때문에 나는 철학을 하는 내 능력에 자신이 없었다. 나는 여전히 이 모든 주장들이 다 거꾸로 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 때만큼 자신감 없지는 않다. 21세기에 들어서는 좀 나아진 것 같다.
(진짜 이게 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