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겐트하트의 "Phänomenologie und Sprachanalyse"의 서문에는 해석학, 현상학, 언어 분석 사이의 관계에 대한 아주 중요한 서술이 한 문단 있는데, 제 어학 실력이 부족해서 그동안 이 부분을 읽을 때마다 약간 의미가 불분명하다고 생각된 문장들이 있었습니다. 영어 번역에서도 다소 의역이 되어 있어서 정확한 의미가 잘 파악되지 않았고요. 오늘 여러 가지로 궁리를 하면서 이 부분을 다음과 같이 번역해 보았는데, 다른 분들이 읽으시기에는 어떤지 모르겠습니다.
(1) 독일어 원문
Die Hermeneutik ist in der philosophischen Thematik umfassender als Sprachanalyse und Phänomenologie geleichermaßen. Methodisch ist sie trotz iherer Herkunft aus der Phänomenologie der Sprachanalyse näher. Man kann die Sprachanalyse als eine reduzierte Hermeneutik ansehen, als eine Hermeneutik im ersten Stockwerk. Ihr fehlt noch die historische Dimension und ein umfassender Begriff des Verstehens. Die Hermeneutik ihrerseits lebt gefährlich im oberen Stockwerk, ohne sich besonders um die Tragfähigkeit und Erneuerung des unteren zu kümmern. Dieses hat sie von der Phänomenologie oder auch aus älterer Tradition übernommen. Die Kritik der Hermeneutik, vor allem Heideggers, an der ältern Metaphysik überhaput und so auch der Phänomenologie betrifft nur deren Beschränkugen; das überkommene Parterre wird unter Denkmalschutz gestellt und darauf aufgebaut, oder darunter in die Tiefe. Die Sprachanalyse ist so weit nie vorgedrungen, doch will sie das Gebäude nicht nur wie der Positivismus niederreißen, sondern glaubt im Besitz neuer Mittel und Methoden zu sein zu einem tragfähigeren Wideraufbau.
(2) 영어 번역
Hermeneutics is more comprehensive in subject matter than linguistic analysis and phenomenology. In its method, however, hermeneutics is closer to linguistic analysis,'despite its origins in phenomenology. Linguistic analysis can be regarded as a reduced hermeneutics, as a first-floor hermeneutics. What linguistic analysis still lacks is a historical dimension and a comprehensive concept of understanding. Hermeneutics, in turn, lives dangerously in the upper story without especially troubling itself about the supportive capacity and the renovation of the floor below, which it has taken over from phenomenology or from an older tradition. The hermeneutical critique, and Heidegger's above all, of metaphysics in general and therefore of phenomenology too, bears only on their limitations; the inherited ground floor is protected like a monument and then either built upon or dug out underneath by the representatives of hermeneutics. Linguistic analysis has never pressed so far. Yet it does not want just to tear the building down, as positivism did. Rather, linguistic analysis believes it has new means and methods for a reconstruction that would be better able to bear the load.
(3) 한국어 번역
해석학은 철학적 주제에 있어 언어 분석과 현상학보다도 더 포괄적이다. 그러나 방법에 있어서, 해석학은 현상학에 있는 자신에 근원에도 불구하고, 언어 분석에 더 가깝다. 언어 분석은 환원된 해석학으로서, 1층위의 해석학으로서 여겨질 수 있다. 언어 분석에 여전히 부족한 것은 역사적 차원 및 이해에 대한 포괄적 개념이다. 다음으로, 해석학은 현상학이나 더 오래된 전통으로부터 물려받은 아래층의 지지력이나 수리에 대해 특별히 신경 쓰지 않으면서, 위층에서 위험하게 살고 있다. 형이상학 일반에 대한, 마찬가지로 현상학 대한, 해석학의 비판은, 그리고 그 중에서도 하이데거의 비판은, 단지 그 분야들의 한계와만 관련된다. 즉, 상속받은 기저 층위는 기념물처럼 보호되어 그 위에서 건축이 이루어지거나 그 아래에서 발굴이 이루어진다. 언어 분석은 지금까지 결코 그만큼 나아간 적이 없지만, 실증주의처럼 단순히 건축물을 무너뜨리기 원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더 견고한 재건축을 위한 새로운 수단과 방법을 지니고 있다고 믿는다.
개인적으로는,
Die Kritik der Hermeneutik, vor allem Heideggers, an der ältern Metaphysik überhaput und so auch der Phänomenologie betrifft nur deren Beschränkugen; das überkommene Parterre wird unter Denkmalschutz gestellt und darauf aufgebaut, oder darunter in die Tiefe. Die Sprachanalyse ist so weit nie vorgedrungen,
이 부분이 어려웠는데요, 영어 번역에서는
The hermeneutical critique, and Heidegger's above all, of metaphysics in general and therefore of phenomenology too, bears only on their limitations; the inherited ground floor is protected like a monument and then either built upon or dug out underneath by the representatives of hermeneutics. Linguistic analysis has never pressed so far.
라고 되어 있는데, (a) 원문의 "betrifft nur deren Beschränkugen"을 정확히 어떤 의미로 이해해야 할지도 모르겠고, (b) "bears only on their limitations"이라는 영어 번역도 저에게는 다소 막연하게 느껴지고, (c) "darauf aufgebaut, oder darunter in die Tiefe"라는 부분의 정확한 번역도 잘 모르겠고, (d) 영어 번역은 "by the representatives of hermeneutics"라고 원문에는 없는 말을 추가하고 있기도 해서 더 헷갈리기도 하였고, (e) 그 다음에 나오는 "Die Sprachanalyse ist so weit nie vorgedrungen"도 "Linguistic analysis has never pressed so far"라고 되어 있지만, 여기서 'press'라는 단어도 여러 가지 의미가 있어서 다소 애매하게 느껴졌거든요.
여하튼 여러 가지 궁리 끝에 지금 제가 올린 한국어 번역이 그래도 의미를 가장 잘 살리지 않았나 하는데, 다른 분들이 보시기에는 어떤가요? 수정해야 할 부분이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