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ating Ethics 시리즈

요즘 Brennan과 Landemore가 공동 집필한 *Debating Democracy: Do we need more or less?*를 읽고 있습니다. 브레넌은 민주주의의 대안을 살피는 진영의 대표 인물이고, 랜드모어는 더 많은 민주주의를 외치는 진영의 대표 인물인데, 두 명이 머리를 맞대어 일종의 논쟁 형식의 책을 냈다는 것이 무엇보다 흥미롭더라구요.

구입할 때 알게 된 사실인데, Debating Ethics라는 시리즈가 있고, 그 일환으로 출간된 책이더라구요.

https://global.oup.com/academic/content/series/d/debating-ethics-debeth/?cc=us&lang=en&

현대 윤리학과 정치철학에서 첨예한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는 주제들에 관해 대립하는 입장을 지닌 (아마) 학계 권위자 둘이 공동 집필하는 형식인 것 같습니다. 이주 문제, 포르노그라피, 성 노동, 기후 윤리 등 주제를 다루는 책이 이미 출간되어 있습니다.

책 속에 적힌 General Editor의 시리즈 소개는 다음과 같네요:

Debating Ethics is a series of volumes in which leading scholars defend opposing views on timely ethical questions and core theoretical issues in contemporary moral, political, and legal philosophy.


윤리학, 정치철학, 법철학의 특정 주제에 관심 있으신 분들이 입문하기에도, 더욱 심화된 이해를 돕기에도 좋은 책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특히 논쟁하는 형식의 책은 각자의 입장을 정확히 파악하고, 해당 문제에 대한 지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저는 굉장히 선호합니다.

다만 아쉬운 점은 A가 주장하고, 그것에 대해 B가 반박 및 주장을 펼치고, 다시 A가 반박하고 주장을 펼치는 형식은 아니더라구요. 예컨대, 제가 보는 책의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가 가장 이상적으로 보는 유형의 책은 불평등과 모욕을 넘어입니다.


제가 보고 있는 *Debating Democracy: Do we need more or less?*의 두 저자의 대표작은 한국에 번역되어 있기도 합니다. *Debating Democracy: Do we need more or less?*에서 전개되는 각자의 주장이 각자의 대표작에서 드러나는 입장을 요약하는 형태이긴 하나, 세 권의 책을 겹쳐보면 더욱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브레넌의 것은 영어본과 한국어본을 대조해보며 보질 않아서 모르겠으나, 제가 생각하기엔 랜드모어의 책은 번역이 아주 잘된 편입니다.

11개의 좋아요

개인적으로는 제이슨 브레넌의 『민주주의에 반대한다』만 읽었을 때는 보수적인 성향의 사회과학자인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현대 자유지상주의 운동에서 상당히 유명한 학자분이래서 놀랐습니다. 약력도 독특하시더라구요.

1개의 좋아요

아마 제가 소개한 시리즈의 일환이자 브레넌이 공동저술한 또다른 책인 Debating Libertarianism: What Makes Institutions Just? 에서 그의 입장이 잘 드러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저는 안읽어봤고, 브레넌 개인의 사상에 대해 별 관심이 없어서 자세한 내용은 모르겠네요.

이와 별개로, 브레넌이 공동 집필자로 참여한 Debating Capitalism 가 내년 출간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비슷한 유형의 책으로 낸시 프레이저와 악셀 호네트가 함께 저술한 <분배냐 인정이냐>가 떠오르네요.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610892

1개의 좋아요

이렇게 또 구매할 책이 하나 늘어납니다... ㅋㅋㅋㅋ

1개의 좋아요

ㅋㅋ 그새 저도 한 권 또 샀습니다..

1개의 좋아요

민주주의를 비판한 철학자들이 있지요. 토크빌이나 스튜어드 밀도 민주주의에서는 다수결에 밀린 소수자의 문제를 제기하며 결사의 자유나 표현의 자유를 강화하여 소수자를 보호해야 한다고 보았지요. 특히 밀은 차등 선거까지 주장하면서 소숫의 지식인을 옹호했지요.

현재의 민주주의가 위협받는자고 주장하시는 분들을 보면 우민화를 우려하는 듯 합니다. 저는 이런 우려는 좀 근거가 없는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을 합니다. 지식인들도 일반 대중과 비슷한 비율로 정책 정당을 지지하기 때문이지요. 또하나는 정치가 이성만의 산물이 아니라는 것 때문입니다. 칸트가 인간을 이성적으로 해석했지만 헤르더는 감성을 무시할 수가 없다고 했지요. 인간의 뇌는 변연계와 대뇌피질이 있는데 변연계는 감성을 좌우합니다. 변연게가 있는한 인간은 감성적으로 영향을 받지요. 정치제도도 개인의 자유 위임으로 창발된 제도이므로 개인의 비합리성을 감안해야 하지요. 오히려 대중의 비합리성이 지도자의 비리를 막는 효과가 있지요.

1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