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철학에 대한 신뢰할 만한 bibliography가 있을까요?

Oxford bibliographies가 있는 건 압니다만, 학교에서 philosophy 카테고리를 구독하고 있지 않네요.

혹시 oxford나 다른 신뢰할 만한 bibliography나 reading list를 아시는 분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개의 좋아요

보통 SEP가 꽤 좋은 Bibliography 를 갖고 있다고 알려져있습니다. 아마 중세철학에도 적용되지 않을까 싶네요 (말씀하신 Oxford Bibliographies도 언급돼있네요)
https://plato.stanford.edu/entries/medieval-philosophy/#Bib

1개의 좋아요

SEP도 보았습니다만, 1차 문헌 목록에 오리게네스나 아우구스티누스같은 교부들이나 쿠자누스같은 후기 중세 저자들이 누락된 것으로 보아 그렇게 완결된 목록같지는 않습니다.

오리게네스나 아우구스티누스 같은 사람들은 그 자체로 SEP가 있으니 (그 자체의 Bibliography도 각 엔트리에 있습니다) 그런 게 아닐까 싶네요. 그쪽으로 보셔도 괜찮지 않을까 싶습니다. 또, 저는 리딩 리스트 찾을 때 관련 수업 실라부스도 많이 찾아보는 편입니다.

만일 중세철학 입문을 위해서 물어보시는 거라면 (아니라면 이 단락은 무시하셔도 됩니다), 보통 철학사는 입문서 1-2권 + 원전으로 시작하고, 연구 자료는 본인이 연구하고 싶은 주제가 생겼을 때 그 주제에 관련해서 충분히 생각해보고 그 후에 찾아보는 게 일반적입니다. 학창 시절에 시험 준비하시던 것처럼 생각하시면 돼요. 이론 준비를 충분히 하고 시험 준비 후반기에 들어갔을 때 기출문제를 보는 것처럼, 철학사 공부 시간의 대부분은 원전을 공부하면서 보내고, 연구 과정에 들어갔을 때 연구서를 보는 것이지요. 원전을 충분히 보지 않고 연구서만 보게 되면 이론 공부를 안 하고 기출문제만 푸는 것과 비슷하지요.

1개의 좋아요

아, 저는 원전들을 보고 싶어서 ‘essential reading'에 해당하는 학자들과 원전들이 뭐가 있는지 궁금해서 리딩 리스트를 찾는 중이었습니다. 중세철학자들은 특히나 저작들이 너무 많기도 해서요.

아퀴나스나 보에티우스같은 사람은 bibliography에 있는 거로 봐서 SEP에 개별 문서의 존재성 유무는 큰 상관은 없는 것 같네요.

1개의 좋아요

제가 알기론 위에서 언급된 Oxford Bibliographies 나 SEP의 항목 정도를 제외하면 일목요연하게 잘 정리되고 거의 모든 분야를 커버하는 'Medieval Philosophy'에 대한 리딩 리스트나 bibliography는 없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아, 독일이나 프랑스 혹은 이탈리아쪽에서 정리한 게 있는지는 모르겠네요.

(1)

우선 "중세철학'의 범위를 명확히 해야할 것 같습니다.

기존 코플스턴/힐쉬베르거, 심지어는 앤서니 케니 책이 지칭하는 "중세철학"과 오늘날 학계에서 말하는 중세철학은 꽤 다르기 때문입니다.

(2)

우선 아우구스티누스나 여러 교부 철학들은 이제 통상 늦고대/고대 후기(Late Antiquity) 철학이라 불리곤 합니다. (아니면 early christianity로 불리거나요.)

이는 이들과 동시대에 있었던 신플라톤주의 같은 "고대철학"과의 동시대성을 고려한 명칭으로 (개인적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보면 아시겠지만 실제로 SEP에서는 아우구스티누스, 심지어 보에티우스도 중세철학 항목에서 다루지 않고 있습니다.)

그리고 하한선도 마찬가지인데, 통상 쿠사누스 같은 학자들은 르네상스 철학으로 분류되는 편입니다. (다만 SEP 항목에서는 중세철학으로 분류됩니다. 왜냐하면 중세철학을 제도적으로 유지시키는 스콜라 철학 시스템이 여전히 유지되고 있기 때문이지요.)

이 스콜라 철학과의 연관성을 고려한다면, 심지어 라이프니츠/스피노자 같은 근대철학과 동시대인들이었던 스페인의 바로크 철학자들, 흔히 살라망카 학파라 불리는 사람들도 중세철학자로 분류할 수 있을 겁니다.
(실제로 SEP에서는 말미에 이름만 나오고 이들을 안 다루지만, 케니와 마우러의 중세철학 책에서는 살라망카를 대표하는 수아레즈가 끝자락에 나옵니다.)

그리고 이제 중세철학의 일부에 속하는 아랍/유대/비잔틴 철학을 제외해도 이렇습니다.
(만약 늦고대까지 중세철학으로 편입시킨다면, 콥트/시리아/게으즈/아르메니아 철학까지도 말해야겠죠.)

(3)

이처럼 "중세철학"이 요근래 들어서 가장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수정된 철학사 주제인만큼, 통합적인 리딩 리스트는 아마 찾는 것이 불가능할 겁니다.

그러니 우선 SEP나 다른 철학사 교재를 통해서 접근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부족해 보이는 시대는 늦고대나 르네상스 철학으로 검색해 나오는 SEP 항목이나 여러 컴패니언, 핸드북들이 그나마 도움이 될 겁니다.

(그리고 올빼미에 검색 해보시면 제가 번역한 Sep 중세철학 항목과 다른 분이 써주신 중세철학사 책 추천 글이 있습니다. 이 둘도 도움이 될 겁니다.)

6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