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규, “Authorial Intention, Readers' Creation, and Reference Shift”

Fictional Realism: 허구적 대상이 있다는 관점이다.

Creationism: 허구적 대상은 추상적 대상으로; 문학적 실천을 포함한 행위로 창조됐다.

Referentialism: 허구적 이름이, 그런 것을 가졌다면, 의미론적 내용은 그 지시체인 허구적 대상인데; 어떤 경우에도 허구적 이름의 의미론적 내용은 연관된 한정 기술구로 주어지지 않는다.

Creationism based on Referentialism (CR): 창조된 추상적 대상이 존재하고, 이는 그 이름의 의미론적 내용이지만, 허구 내의 문장과 단칭 부정 존재양화 문장은 거짓이다.

Everett의 원리: 만약 허구 f가, 허구 a가 존재하고 b가 존재하는 그런 것이고, 어떤 실제적인 것도 a나 b와 동일하지 않으면, (1) a=b는 참이다 iff 허구 f에서: a=b는 참이다; (2) a=b는 거짓이다 iff 허구 f에서: a=b는 거짓이다.

Indeterminate Identity 논증과 Everett의 원리로부터, Bahrooh가 Bahraah라는 것은 참도 거짓도 아니라는 결론이 도출된다(Bah-Tale 참조).

문제: 'Bahrooh는 Bahraah와 같은 허구적 캐릭터다.' 등의 진리치도 미정이 된다.

의도된 예시: Nap-Tale(Napoleon과 Parker), Cic-Tale(Cicero와 Tully) 등
의도: 허구에서의 동일성이 현실에서의 것을 결정하지 않음을 보인다.

  • 필자가 볼 때 허구적 대상에의 반실재론을 가정하지 않는 한, CR의 수용자는 Everett의 가정(EFA)을 도입할 필요가 없다: 어떤 정신적 활동으로 작가는 작문 전에 캐릭터를 창조할 수 있어 보이기 때문이다.

  • EFA: 같은 허구에서 발생하는 두 허구적 대상 a와 b가 동일하다고 취급되는지는, a와 b가 그 허구 세계에서 같은 individual인지 아닌지로 결정된다.

[?] 필자는 허구적 대상들을 individuate할 때 authorial한 의도를 고려한다면, EFA는 버려질 만하다고 생각한다.

Intentional Creation (IC): 새로운 구별되는 허구적 대상 o는 저자에 의해 의도적으로 창조되었다 iff/whenever 그가 다른 허구적 대상과 구별되는 새로운 허구적 대상 o를 창조할 적절한 의도가 있었고, 그 의도의 인과적 결과로서, 그는 o에 대한 단칭 명제를 믿는 것처럼 한다.

  • 추가 요구: IC는 허구적 대상들의 존재 조건, 그것들의 identity와 cardinality에 빛을 비춘다; full-blown을 요하는 것이 아니라 의도적으로 창조된 경우만 연관된다.

필자가 볼 때, Stan Lee가 창조 의도를 갖지 않았다면 의도적으로 창조된 것은 실로 무엇도 없다. 그러나 혹자의 우려와 달리, CR의 옹호자는 무지칭적인 이 이름들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설명할 수 있다.

  • 이는 Braun과 Salmon의 Gappy Proposition Theory로 설명된다: 무지칭적 이름을 포함한 문장은 gappy proposition을 포함하고, gp는 필수 구성 요소를 결여한다. (다양하게 비판받았지만 본고의 핵심에서 멀어진다.)

부주의한 창조 (ICMO): 추상적 대상 o는 주체 S에 의해 부주의하게 창조된다 if/when S가 잘못 o라는 대상이 있다고 믿고 o에 대한 단칭 명제를 만족시키려 한다.

예시: Le Verrier의 Vulcan 등.

명료화를 위해, 다음 조건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잘못된 믿음을 저지르는 것과는 다르게 부주의하게 창조된 추상적 대상에는 침묵한다; 허구적 대상의 창조에도 침묵한다.

따라서 다음을 주의해야 한다: 대상의 존재에 연관된 오도된 믿음이 pretense 행위에 관련될 수 있다.

  • Zvolenszky의 예시에 관해: Bolkonsky는, ICMO에 의하면 신화적 대상으로 보아야 한다; 필자에 의하면 그가 동시에 허구적 캐릭터일 가능성이 배제되지 않는다.

  • 이 부분에 대한 필자의 주장: Stan Lee의 'Peter Parker'-지시체에 관한 단칭 명제를 포함하는 인지적 활동의 부재는 그 허구적 대상의 부재를 수용할 좋은 근거가 된다.

유명론자 작가 사례에 대한 답변: 독자들의 잘못된 일반적 믿음으로서 'Peter Parker'라는 이름이 허구적 캐릭터 Peter Parker를 지시한다는 믿음은, 모든 독자에게 퍼진다. 이에 의미론적으로, 그들의 'Peter Parker'-사용은 Peter Parker-지시에 이른다.

Evans의 Madagascar 사례

  • Kripke의 답변: 어떤 경우든 주어진 entity를 지시하려는 현재의 의도가, 역사적 연쇄에서 지시를 보존하려는 원래의 의도에 우선한다.

  • 필자의 답변: Kripke에, 어떤 지시도 허구적 지시로 변할 수 없는 경우를 추가로 고려하라. P. Parker가 부주의하게 창조됐다면, 어떤 메타-의미론적 설명이 최선이든, referentialism과 정합적인 한, 유명론자 작가 사례를 같은 식으로 설명할 수 있다.

Bah-Tale에 대한 필자의 설명: 독자들은 오히려 판단을 유보하며, 이때 미결정적이라는 느낌은 인식적인 것에 가깝다. 특정한 수의 캐릭터를 infer할 수 있게 하는 어떤 믿음직한 증거도 주어지지 않는다는 점이 "느낌"의 원천이 된다.

5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