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훈승, 「헤겔과 절대자」, 1~2장 요약




일러두기: 각 장과 절의 제목에 쓰인 대괄호'[ ]'는, 논문 원본의 제목을 그대로 옮겼다. 또한, 내용의 문단 안에서 쓰인 대괄호 '[ ]'는, 인용한 논문 원본의 쪽수를 명기한 것이다. 인용문 사이에 쓰인 '[ ]'는 이해를 위해 삽입한 구절이다.



1 [서론] - 전체 내용에 대한 개요

헤겔 철학에서 "절대자(Absolute)"는 단순한 신학적 대상이나 형이상학적인 실체가 아니라, 사유와 존재의 일치를 드러내는 "열려 있는 총체성Totalität"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절대자는 자기 외화를 통해 모순적 타자를 생산하고, 이를 부정·통합하며 다시 자기 자신으로 복귀하는 변증법적 운동을 수행하는 활동으로서의 실체이다. 헤겔 자신이 '전체Ganze'라고 부른 것은 결코 완결된 정지 상태가 아니며, 오히려 각 전개 단계를 모두 포함한 채 항상 전개 과정을 지속하는 인식론적-존재론적으로 늘 과정에 있는 '미완성된 전체unvollendete Ganzheit'이다.

이점에서 저자는 절대자에 대한 간단하고 명료한 해석을 보여준다. 특히 저자는 헤겔이 "전체는 스스로 전개함으로써만 전체이다"라고 한 사실을 명시한다. 헤겔에 대한 통상적인 비판은 그가 전체주의적 철학자라는 것으로, 이는 헤겔 철학을 '정신'의 관점으로 이해하지 못한 것이며, 따라서 이러한 몰이해는 절대자를 독립적인 하나의 단일체로 환원하는 오해로 이어진다. 저자는 논문에서 이러한 오해를 종식시킨다.


1.1 요약문의 구조

이 요약문은 논문의 구조를 따라서 총 4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장의 내용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장) 서론으로 바로 이 지점이다. 우선 먼저 저자의 "헤겔과 절대자" 논문 서론이 제시한 절대자의 개념 규정, 정신으로서의 절대자, 절대자와 무한자, 절대자와 자유 등의 핵심 주제를 요약한다.

(2장) 저자의 절대자에 대한 통찰을 요약한다.

(3장) 가무한과 진무한의 관계를 다루면서, 2장 3장에 대한 보충으로 유사한 다른 논문들과 내용을 비교하여 논증을 강화하고, 절대자를 '하나인 폐쇄적 완전체'로 오인함으로서 발생하는 이데올로기적 환상의 위험성을 지젝의 비판을 통해 조명한다.

(4장) 저자가 결론부에 남겨놓은 쟁점을 살펴본 뒤, 이에 대한 보충으로 해결책을 모색한다. 더하여, 실천적 영역에서 절대자에 대한 통찰이 이끌어 낼 수 있는 효과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2 [헤겔에 있어서의 절대자]


2.1 [절대자에 대한 일반적 규정] - 절대정신의 주체성: 자기외화와 지양

"절대자란 자신 속에 모든 유한자를 내포하고 있으면서 이러한 유한자의 전개를 통해 자기 자신을 전개해 나가는 그러한 존재자다." - [270]

헤겔은 칸트·쉘링의 '초월적 무한자'개념을 비판하며, 진무한(=절대자)은 유한자를 대립으로 삼지 않고 내재적으로 포함한다. 이는 '부정의 부정' 구조이며, 구체적 보편으로서의 존재론적 지위를 획득한다.

"추상적 무한은 오성의 무한에 불과하나, 진정한 무한은 이성의 무한이며, 이는 유한자의 부정을 통해 스스로를 긍정하는 구조이다." - [274]

헤겔은 절대정신을 “자기를 대상화(Entäußerung)하고, 그 대상을 부정하여 다시 자기에게로 복귀하는 순환적 운동”으로 정의한다. 이 과정은 단순 회귀가 아니라, "부정된 타자를 보존하면서 그 위에서 새로운 통일을 이루는 이중작용"이다.

"정신이란, 스스로를 객체로 설정하고 그 객체를 부정함으로써, 그 부정 속에서 다시 자기 자신에게로 복귀하는 바로 그 주체성이다. Der Geist ist jene Subjektivität, welche sich als Objekt setzt und dieses Objekt negiert, um in der Negation zu sich selbst zurückzukehren."〈GW 12:151〉


2.2 [정신으로서의 절대자]

"절대자는 정신이며, 정신은 자신을 외화시켰다가 그 외화를 지양하여 다시 자기 자신에게 복귀시키는 운동으로서만 존재한다." - [272]

이 운동은 헤겔 논리학의 '시원으로 회귀하는 근거 짓기rückwärtsgehendes Begründen'와 '전진적 추가 규정vorwärtsgehendes Weiterbestimmen'을 동시에 포함한다. 정신은 이중 운동 속에서 자기-대상화와 자기-통합을 반복한다.

"이때 정신의 ‘깊이’는 외화의 크기, 즉 모순을 감내하는 크기에 비례한다." - [273]


2.3 [주체인 절대자]

"절대정신은 고정된 점이 아니라 부단한 자기부정의 주체이며, 이 주체성이 세계창조로 구체화된다." - [275]

헤겔의 주체(subject) 개념은 아리스토텔레스적 목적론과 근대 표현주의가 결합된 '자기실현'으로, 주체는 자신의 목적(절대이념)을 실현하기 위해 세계를 매개로 활동한다.

"세계 없이 신은 완전하지 않으며, 세계창조는 절대정신의 자기 외화이자 자기 계시이다."〈백훈승 2004, 277〉

1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