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에 대해서
모르겠네요. 사실 저는
라는 커뮤니티의 목표에 앞서 저희가 토론한 내용이 부합했다고, 즉 양자간의 입장 차이가 분명해졌다고 판단해서 더이상 답변을 달고 싶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제 비판이 "로티에 대한 지나친 비난"이라고 생각하시면서 "특정 철학적 입장에 대한 해석이란 기본적으로 자비의 원칙(principle of charity)을 따라야"한다고 말씀하시는 부분은 이해하기 어렵네요. 선생님께서 어떻게 보시는지는 몰라도, 저는 제가 논의한 지점에서 로티의 입장을 최대한 "자비의 원칙"에 따라 "최대한 논리적으로 강한 형태"로 만들었으니까요. 심지어 제가 로티의 입장을 자의적으로 재구성한다는 비판을 피하기 위해서 로티가 직접 드러낸 주장을 인용했음에도, "저희는 철학을 하는 것이지 문헌학을 하는 건 아니니까요."라는 선생님의 비난을 저는 정당한 비판으로 바라보고 응수해야 할까요?
"논리적으로"라는 표어로 충실하게 로티의 입장을 전개하면, 로티의 입장은 '비일관적'일 뿐더러 수사학으로 어물쩡 넘어가는 태도를 보인다고 평가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한줄로 정리해 버릴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저는 '비일관적'이라는 평가 단 한줄만으로 로티가 가진 입장과 퍼트남, 비트겐슈타인의 차이를 없애버리고 싶지 않습니다. 만약 YOUN님께서 제 입장에 대한 "자비의 원칙"을 따르셨다면, 제 입장이 아주 단순하고 영양가없는 논의로 정리될 수 있다고도 생각할 수 있지 않으실까 합니다. 정리된 입장에 대해 저는 절대 동의할 수 없겠지만요.
(2)에 대해서
⌜비트겐슈타인은 실용주의자인가?⌟라는 챕터에서 퍼트남이 중요하게 다루고,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에서 중요하게 볼 수 있는 것이 바로 "객관성이나 합리성이 있다고 상정한" 것과 "객관성이나 합리성이 있다고 상정하려는" 것을 구분해서 바라보는 것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그리고 퍼트남이 적어도 이 글에서 한 명의 주석가로서 충실히 자신의 해석을 진행하고 있다고, 적어도 이 글에서 퍼트남은 비트겐슈타인의 충실한 대변가라고 저는 평가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제가 퍼트남과 로티가 분명한 차이를 보인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위의 구분에 따라 도출되는 결론이 다른 것이지(이게 굉장히 중요하다고 저는 보고, 비트겐슈타인의 서술은 이 구분을 가로지른다고 생각합니다), 네이글의 "박쥐 논변"과 퍼트남의 "대충 서있는 사람의 사진" 예시의 함의가 (아주 우연하긴 하지만, 결과적인 측면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저는 로티가 이러한 노력들을 부질없다고 치부해버리는게 제가 로티의 실용주의에서 정말 많은 부분을 놓치게 되는 만큼, 로티가 철학의 핵심적인 부분을 '버리는' 것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비트겐슈타인이 하이데거의 존재 탐구에 대해 (그것의 무의미함에도 불구하고) 공감을 표명했던 것과 다르게, "형이상학적인 헛소리"라고 생각하는 로티의 입장에 결코 동의할 수 없게 되는 거구요. 이런 차이를 전제했을때, 퍼트남의 방향과 로티의 방향에서 각각 실용주의가 따라나오는 과정은 철저하게 구분해서 바라보아야 한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본론으로 돌아가서, 저도 아직 퍼트남의 철학에 대해 자세히 들여다보지 않았기 때문에 퍼트남이 "상정"한 이론이 있다면 저는 비판적으로 평가할 생각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선생님께서 바라보신 구도는 정확하시지만, 저 역시 본문에서 보이는 퍼트남의 입장을 벗어나서 퍼트남의 철학 전체에 대한 질문으로 "퍼트남은 비트겐슈타인의 대변인인가?"에 대해서는 조금 더 알아봐야 할 것 같네요.
- 첨언에 대해, 적어도 이 글에서 퍼트남은 비트겐슈타인의 핵심을 잘 짚는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선생님께서 퍼트남의 왜곡된 해석에 대한 비평을 볼 수 있다면 좋겠네요.
이제 제 입장을 어느정도 명료히 밝힌 것 같다고 생각해, 여기에서 입장을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답글은 더이상 달지 않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