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에 David Chalmers와 David Bourget가 재밌는 설문을 하나 했습니다. 철학자들에게 여러 가지 주제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조사한 것인데요, 현재 철학계의 "통설"을 간접적으로나마 보여주는 자료가 아닐까 싶네요.
조사 대상은 PhilPeople에 등록된 철학자들 중
대략 학사 학위를 수여할 수 있는 일정 규모 이상의 철학과 정교수(비영어권 국가의 경우 영문 출판 경력이 있는 학자) 7685명이었고 실제로 설문을 완료한 수는 1785명이라고 합니다.
답변 유형에는 받아들인다(accept), 받아들이는 쪽이다(lean to accept), 중립적이다(neutral), 거부하는 쪽이다(lean to reject), 거부한다(reject)가 있었습니다.
아래에는 몇 가지 흥미로운 질문들을 뽑아 어떤 입장들이 얼마나 지지받는지 따와봤습니다. 더 궁금하신 분들은 "what do philosophers believe"라고 구글에 치시면 논문을 찾으실 수 있을 겁니다!
-
선험적 지식
(1) 있다 72.8
(2) 없다 18.5 -
추상적 대상에 대해
(1) 플라톤주의 38.4
(2) 유명론 41.9 -
분석-종합 구분
(1) 있다 62.5
(2) 없다 25.8 -
인식적 정당화에 대해
(1) 내재주의 35.7
(2) 외재주의 50.5 -
외부 세계에 대해
(1) 관념론 6.6
(2) 회의주의 5.4
(3) 비회의주의적 실재론 79.5 -
자유의지
(1) 양립가능론 59.2
(2) 자유론(Libertarianism) 18.8
(3) 없음 11.2 -
젠더의 본성
(1) 생물학적 29.0
(2) 심리적 21.5
(3) 사회적 63.1
(4) 비실재 4.2 -
신에 대하여
(1) 유신론 18.9
(2) 무신론 66.9 -
지식 주장(Knowledge-claim)
(1) 맥락주의 54.6
(2) 상대주의 5.4
(3) 불변주의 25.5 -
논리학
(1) 고전 논리학 53.6
(2) 비고전 논리학 26.4 -
심적 내용(mental content)
(1) 내재주의 26.4
(2) 외재주의 58.1 -
메타윤리학적 입장
(1) 도덕 실재론 62.1
(2) 도덕 반실재론 26.1 -
마음
(1) 물리주의 51.9
(2) 비물리주의 32.1 -
도덕적 판단
(1) 인지주의 69.3
(2) 비인지주의 20.7 -
규범윤리학적 입장
(1) 의무론 32.1
(2) 결과주의 30.6
(3) 덕윤리 37.0 -
지각적 경험
(1) 선언주의(disjunctivism) 15.6
(2) 감각질 이론 15.1
(3) 표상주의 39.3
(4) 감각자료 이론 5.0 -
고유명에 대해
(1) 프레게주의 36.1
(2) 밀주의 38.7 -
과학
(1) 과학적 실재론 72.4
(2) 과학적 반실재론 15.0 -
진리론
(1) 대응론 51.4
(2) 축소주의 24.5
(3) 인식적 관점 10.2 -
철학적 방법론 (어떤 것이 가장 유용하고 중요? / 복수응답인듯 / 괄호 안은 반대 비율)
(1) 개념 분석 70.4 (11.6)
(2) 개념 공학 39.5 (20.6)
(3) 경험주의 철학 60.0 (14.5)
(4) 실험 철학 32.6 (35.9)
(5) 형식적 방법론 55.5 (12.9)
(6) 직관 기반 49.5 (29.0)
(7) 언어적 방법론 46.2 (21.5) -
지식 개념의 분석
(1) JTB 23.6
(2) 다른 분석 32.2
(3) No Analysis 30.6 -
의식
(1) 이원론 22.0
(2) 제거주의 4.5
(3) 기능주의 33.0
(4) 동일론 13.3
(5) 범심론 7.5 -
칸트의 입장
(1) 한 세계 45.4
(2) 두 세계 34.9 -
속성
(1) 집합(Classes) 11.5
(2) 내재적 보편자(immanent universals) 20.6
(3) 초월적 보편자(transcendent universals) 19.8
(4) 트롭 15.3
(5) 없음 8.1 -
명제
(1) 집합 8.4
(2) 구조화된 개체 38.3
(3) 단순한 개체 6.9
(4) 행위 8.1
(5) 없음 15.4 -
비트겐슈타인 (어느 쪽을 더 선호?)
(1) 전기 24.6
(2) 후기 57.5